여행우리

행주산성

자연인206 2006. 3. 1. 17:46
반응형
SMALL

요 몇일 무었때문인지 모르게 시작된 신경통(?)은 뒷목에서 시작해  마치 꽤병처럼 왼쪽 어깨죽지를 따라 가슴까지 파고 드는 통에 오전을 이불속에서 읽다가 만 책을 마져 읽는것으로 허송해버렸습니다.

 

점심식사 후 3.1절 휴일을 어떻게 보낼까 궁리해 보다가 가까운 행주산성이나 다녀와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다솔이 다운이에게 의견을 물었더니 OK~~

 

행주산성은 덕양산(해발124.9m) 정상을 중심으로 7~8부 능선을 따라 흙으로 쌓은 토성으로 전체 둘레는 약1KM입니다.

 

산성의 남쪽은 한강에 맞닿아 있꼬, 동남쪾으로는 창릉천이 산성을 돌아 한강으로 유입되며, 산성의 동남쪽과 남쪽 일대는 경사가 매우 급하여 자연적인 요새지로서의 지형을 갖추고 있습니다.

산성은 정상부를 에워싼 소규모의 내성과 북쪽으로 전개된 작은 골짜기를 에워싼 외성의 이중구조이며 서울대학교 학술조사단에 의한 발굴조사 결과 통일 신라시대에 쌓은 성으로 밝혀졌다고 합니다.

 

이 산성은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행주대첩(1593년)의 현장으로 유명하며 산성의 정상에는 선조 36년(1603년)에 세운 대첩비가 있습니다.

 

 

매표소를 들어서자 말자 왼쪽에 자리한 권율장군의 동상과 부조입니다.

 

 

장우성 화백이 그린 권율 장군의 영정이 봉안된 충장사 입구입니다.

 

 

임진왜란 때 행주산성에서 왜군을 물리친 권율 장군의 승전을 기념하기 위해 선조때 세운비가 비바람에 훼손된것을 헌종11년(1845년)에 원래의 비문을 화강암에다가 그대로 옮겨놓았다고 합니다.

다솔이 다운이는 비문에 담긴 뜻에는 아랑곳없이 밤새 내려 쌓인 하얀 눈밭에서 장난을 치느라 정신이 없었습니다. 

 

 

장난만치던 다솔이와 다운이는 충장사로 올라가 향로에 향을 얹고 묵념을 하고 돌아왔습니다.

 

 

향로에 향을 얼마나 많이 뿌려놓았는지 연기가 자욱하게 피어 올랐습니다.

 

 

성의 출입문이 있던 문터로 알려진 토성의 시작부분입니다.

학술발굴조사로 문터의 서벽아래에 문을 세우기 위한 두께 50Cm가량의 통일 신라시대의 성토층이 확인되었다고 하는데 문의 폭은 7m 가량이며, 지면 아래서 확인된 생토 암반을 파고 들어간 배수로는 산성의 자연배수로 역할도 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합니다.

 

 

발굴된 토성은 이처럼 산성의 서북쪽을 휘감아 돌면서 정상으로 이어져 있었습니다.

 

 

정상에는 1970년에 세운 신형 대첩비가 하늘을 향해 우뚝 솟아 있습니다.

 

 

그 바로 아래에는 권율장군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선조 임금이 세운 대첩비가  오랜 풍상에 대부분의 글씨가 훼손된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산성에서 동남쪽 방향으로 바라본 한강과 서울의 강서지역 전경입니다.

고양시와 김포를 지나 인천신공항으로 이어지는 김포대교가 한강과 어울어져 그림같은 풍경으로 펼쳐집니다

 

 

대첩비앞 영상관에서 행주대첩과 권율장군의 일대기를 그린 영화를 관람하고 나온 다솔이 다운이는 모처럼의 나들이에 신이났습니다.

 

대첩비 바로 아래에는 한강방향으로 진강정이라는 정자가 있습니다.

무더운 여름날 다시 찾으면 강 바람과 녹음속에서 시원한 한때를 보낼 수 있을것 같아 보였습니다.

 

겨우 2천5백여명의 군사로 4만의 왜군을 상대하였지만 중과부족의 전력의 절대적 열쇠에도 불구하고 전투를 승리로 이끈 행주대첩 당시 사용된 각종 무기들을 재현해서 전시해놓은 대첩기념관입니다.

 

 

잠시 들린 활터 뒷뜰 언덕에서 다솔이와 다운이는 겨우내 메말라있던 잔디를 미끄럼틀 삼아 몇번이고 오르내렸습니다.

 

 

다솔이 다운이가 잔디언덕에서 미끄럼놀이를 하는 사이 활터 안마당 여기 저기 파릇파릇 올라오고있던 새싹을 발견하여 클로즈업해보았습니다.

 

겨우내 언땅을 비집고 고개를 내민 새싹의 싱싱함을 보면서 봄은 이제 우리들 곁에 아주 가까이 다다란듯 보였습니다.

반응형
LIST

'여행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준 박물관  (0) 2006.03.12
전곡리 선사유적지  (0) 2006.03.05
동해... 겨울 바다  (0) 2006.02.06
디지니랜드  (0) 2005.11.06
유니버셜 슈튜디오  (0) 2005.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