劬勞之感(구로지감)
자기를 낳아 키우느라고 고생한 부모의 은혜를 생각하는 마음.
戴星之行(대성지행)
타향에서 부모의 죽음을 연락 받고 밤 낮 없이 바쁘게 돌아오는 길.
冬溫夏淸(동온하청)
부모를 섬김에 있어,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시원 하게 해 드린다는 뜻.
毛義奉檄(모의봉격)
중국에 집이 몹시 가난한 모의라는 사람이, 늙은 어머니를 모시고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살고 있었다. 어느 날 관리로 임명한다는 소장이 왔는데 노모가 어찌나 기뻐하는지 모의는 노모를 위해 벼슬을 하기로 했다. 이때 그의 지조를 높이 받들던 장봉이라는 사람이 모의는 지조 없는 사람이라고 공격했다는 고사.
反哺之孝(반포지효)
자식이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하는 효성
斑衣之戱(반의지희)
늙은 부모를 즐겁게 하려고 생동 저고리를 입고 기어가는 흉내를 내었다는 중국사람 노래자(老萊子)의 고사.
百里負米(백리부미)
백 리 멀리 떨어진 곳으로 쌀을 진다는 말로, 가난하게 살면 서도 효성이 지극하여 갖은 고생을 하며 부모의 봉양을 잘하는 것을 뜻한다.
伯兪泣杖(백유읍장)
한 백유는 나이가 들어서 어머니로부터 종아리를 맞게 되었는데, 어릴 때 자신을 때리던 힘보다 약해져,
어머니가 많이 늙었음을 통탄하였다는 고사.
事親以孝(사친이효)
어버이를 섬김에 효도로써 함. 세속오계의 하나
菽水之歡(숙수지환)
콩죽과 물로 생활을 영위하지만 부모에게 효도함을 이르는 말.
愼終追遠(신종추원)
부모의 장례 때에는 슬픔을 다하고 제사 때에는 공경을 다함.
養志之孝(양지지효)
항상 부모의 뜻을 받들어 마음을 기쁘게 해드리는 효행.
愛親敬長(애친경장)
부모를 사랑하고 어른을 잘 모심.
以孝傷孝(이효상효)
효심이 지극하여 어버이의 죽음을 슬퍼하다가 병이 남.
王祥鯉魚(왕상리어)
병석에 누운 왕상의 어머니가 아들에게 잉어가 먹고 싶다고 하셨다.
때가 한겨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왕상은 얼음을 깨고 잉어를 잡아 어머니에게 바침.
陸績懷橘(육적회귤)
친구 집에 초대를 받아 간 육적이 집에 홀로 계시는 어머니에게 드리려고 잔칫상에 나온 귤을 가슴에 품고 나온 고사.
事親以孝(사친이효)
어버이를 섬김에 효도로써 함. 세속오계의 하나
父子有親(부자유친)
아버지와 아들의 道는 친애에 있음. 五倫의 하나
父爲子綱(부위자강)
아버지와 자식 사이에 지킬 떳떳한 도리. 삼강의 하나.
昏定晨省(혼정신성)
조석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 살핌
反哺之孝(반포지효)
자식이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하는 효성
反哺報恩(반포보은)
자식이 부모가 길러 준 은혜를 갚음
風樹之嘆(풍수지탄)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윈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부모가 일찍 돌아가셔서 효도를 할 기회가 없음을 한탄함.
出必告反必面(출필곡반필면)
밖에 나갈 때 가는 곳을 반드시 아뢰고, 되돌아와서는 반드시 얼굴을 보여 드린다.出告反面
昊天罔極(호천망극)
끝없는 하늘과 같이 부모의 은혜가 크다는 것을 말함
望雲之情(망운지정)
객지에서 부모를 생각하는 마음
白雲孤飛(백운고비)
멀리 떠나는 자식이 어버이를 그리워 함
伯兪之孝(백유지효)
韓伯兪는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로부터 종아리를 맞아도 아프지 않다하여 어머니의 노쇠함을 탄식함
견마지양(犬馬之養)
개나 말의 봉양. 부모를 봉양만 하고 존경하는 마음이 없음. 봉양만 하는 것은 효도가 아니다.
반의지희(斑衣之戱)
지극한 효성, 즉 노 부모 앞에서 색동 옷을 입고 놀이함으로서 부모의 마음을 즐겁게함.
양지지효(養志之孝)
항상 부모의 뜻을 받들어 마음을 기쁘게 해드리는 효행
家貧親老(가빈친로)
살 림이 궁색하고 어머니가 늙었을 때에는, 그 봉양을 위해서, 마땅치 않은 벼슬자리라도 한다는 말.
구勞之感(구로지감)
자기를 낳아 키우느라고 고생한 부모의 은혜를 생각하는 마음.
老萊子遊戱(노래자유희)
주나라의 노래자가 칠십 세 때 어린아이의 옷을 입고 어린애 장난을 하여 늙은 부모를 기쁘게 해드린 고사에서 유래.
當代發福(당대발복)
부모를 좋은 땅에 장사지내 지금의 세상 부귀를 누리게 됨.
戴星之行(대성지행)
타향에서 부모의 죽음을 연락받고 밤낮없이 바쁘게 돌아오는 길.
冬溫夏淸(동온하청)
부모를 섬김에 있어,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시원하게 해 드린다는 뜻.
得親順親(득친순친)
부모의 뜻에 순종하다.
無後爲大(무후위대)
자손이 없는 것은 가장 큰 불효이다.
斑衣之戱(반의지희)
지극한 효성. 늙은 부모를 즐겁게 하려고 생동저고리를 입고 기어가는 흉내를 내었다는 중국사람 노래자(老萊子)의 고사.
三釜之養(삼부지양)
적은 봉급으로 부모를 모시는 것.
三不孝(삼불효)
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고, 가난 속에 버려 두며, 자식이 없어 제사가 끊어지게 하는 일.
菽水之歡(숙수지환)
콩죽과 물로 생활을 영위하지만 부모에게 효도함을 이르는 말.
愼終追遠(신종추원)
부모의 장례 때에는 슬픔을 다하고 제사 때에는 공경을 다함.
身體髮膚 受之父母(신체발부 수지부모)
신체의 모든 것은 부모로부터 받은 것이라는 뜻으로, 건강이 효도의 으뜸이을 강조한 말.
仰事俯育(앙사부육)
어버이를 섬기고 처자식을 돌봄.
養志之孝(양지지효)
항상 부모의 뜻을 받들어 마음을 기쁘게 해드리는 효행.
愛親敬長(애친경장)
부모를 사랑하고 어른을 잘 모심.
五不孝(오불효)
다섯 가지 불효의 행동. 곧 게으름, 노름과 술을 즐김,
재물을 좋아하고 자기 처자식만 중하게 여김, 환락을 탐미함, 만용(蠻勇)으로 싸우기를 잘함이다.
烏鳥私情(오조사정)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정. 자식이 부모를 공양하는 정(情)을 비유.
遊必有方(유필유방)
부모가 생존해 있을 때 자식은 그 슬하에서 모셔야 하며, 멀리 공부를 떠나도 늘 소식을 전할 수 있게 일정한 곳에 머물러야 한다.
以孝傷孝(이효상효)
효심이 지극하여 어버이의 죽음을 슬퍼하다가 병이 남.
子路負米(자로부미)
지극한 효성을 말함. 자로가 가난하여 매일 쌀을 등짐으로 백리 밖까지 운반하여 그 운임으로 양친을 봉양했다는 고사.
節孝旌門(절효정문)
충신, 효자, 열녀 등을 표창하기 위하여 세우는 붉은 문.
王祥鯉魚(왕상리어)
병석에 누운 왕상의 어머니가 아들에게 잉어가 먹고 싶다고 하셨다.
때가 한겨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왕상은 얼음을 깨고 잉어를 잡아 어머니에게 바침.
陸績懷橘(육적회귤)
친구집에 초대를 받아 간 육적이 집에 홀로 계시는 어머니에게 드리려고 잔칫상에 나온 귤을 가슴에 품고 나온 고사.
子爲父隱(자위부은)
자식은 아버지를 위해 숨긴다는 뜻으로, 부자간의 천리 인정을 말함.
舐犢之情(지독지정)
어미소가 송아지를 핥아 주는 정이니, 자식에 대한 부모의 지극한 사랑을 말함.
帝榮救父(제영구부)
한나라의 순우공(淳于公)이 형벌을 받아 사형을 당하게 되었다. 그에게 제영이란 딸이 있었는데 자신이 노비가 되어도 좋으니 아버지의 죄를 면해 달라고 간청하여 그 뜻을 가상히 여긴 임금이 사형을 감해 주었다는 고사.
昏定晨省 (혼정신성)
저녁에 이부자리를 정하고 아침에 자리를 돌아본다는 뜻으로,
자식이 아침 저녁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서 살핌을 이름.'정성(定省)'이라고도 함.
直躬證父(직궁증부)
정직함이 너무 지나쳐 부자간의 천리 인정을 저 버리는 것.
곧, 자식이 그 아버지를 위하여 감추지 못한 것을 탓하는 말.
백리부미(百里負米)
백리나 떨어진 먼 곳으로 쌀을 진다는 말로,
가난하게 살면서도 효성이 지극하여 갖은 고생을 하며 부모의 봉양을 잘하는 것을 뜻한다.
'어깨동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월 대보름 부스름 깨물기 (0) | 2011.02.17 |
---|---|
발렌타인 Day (0) | 2011.02.16 |
저 체온이 불러오는 재앙 (0) | 2011.01.27 |
비타민 B17에 관한 이야기 (0) | 2011.01.11 |
암세포 킬러-비타민B17의 작용 메카니즘, 효능 (0) | 201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