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초우리

산사(아가위) - 어혈을 풀고 혈액순환을 돕는 기혈제

자연인206 2010. 11. 2. 12:20
반응형
SMALL

 

 

가을철 이맘때쯤이면 잘익은 산사가 저절로 땅에 떨어져 바닥에서 누구던 편하게 앉아서 줏을 수 있지요

 

강원도 산골로 다니다보면

민간요법으로 이 산사 열매를 주워 말린후 작은 통에 넣어두고 속이 불편할때 한알씩 꺼내서 먹어면 더부룩했던 속이 시원해진다고하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 산사도 과용하면 오히려 몸에 해롭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듯 해서 라디오 동의보감으로 유명한 신재용 한의사님의 저서중에서  관련자료를 옮겨봅니다.

 

산사는 가을에 서리가 내린 후 열매를 따서 얇게 썰고 핵을 제거한 다음 햇볕에 말린다. 또는 쪄서 익힌 다음 껍질과 핵을 제거하여 찧어서 떡을 만들어 햇볕에 말린다.

 

약으로 쓸때는 그냥 쓰거나, 약한 불에 표면이 담황색이 되게 술로 볶아 식힌 후 쓴다. 이것을 초(炒)산사라고 한다.

 

혹은 겉이 타서 황갈색이 될때까지 강한 불로 볶은 후 맑은 물을 뿌린 다음 햇볕에 말려 쓴다.이것을 초(焦)산사라고 한다. 겉이 타서 흑색이 될때까지 강한 불로 볶은 후 맑은 물을 뿌린 다음 햇볕에 말려 쓰기도 하는데 이것을 탄(炭)산사라고 한다.

 

오랫동안 묵은것이 좋으며 알이 고르고 크며 껍질이 붉고 질이 단단하며 살이 두꺼운것이 좋은 품질이다.

 

산사는 찔광나무,애광나무,동배나무등의 속명으로 불리는데 종류가 다양해 넓은잎 산사, 좁은잎산사,털산사,가세잎산사등이 있다, 우리말로는 아가위라고 하며 장미과에 딸린 식물의 열매이기때문에 일명 당구자라고도 하며 약용할때는 산사육이라고한다.

 

어떤 효과가 있을까?

 

어혈과 지방제거 작용이 있다.

혈액을 깨끗하게 해주며, 콜레스테롤을 줄인다. 그새서 고지혈정,관상동맥경화증등을 예방하는데 매우 이롭다.

 

혈압강화 작용이 뚜렷하다.

혈관을 확장하여 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혈압을 낮춰준다. 동물실험결과 혈압을 천천히 지속적으로 하강시키고 3시간정도 유지시킨다고 한다. 혈압을 떨어뜨리는데는 잎과 꽃도 약으로 쓸수있다.

 

건위 소화작용이 뛰어나다.

특히육식을 소화시키는 작용이 뛰어난데 함유된 리파제가 지방류 음식물의 소하를 촉진한다. 그래서 식욕부진,위산결핍증 또는 위산과다증에 쓰고 체증이 ㅇ ㅗ랫동안 내리지않아 가슴과 배가 답답할때 굳은 대변을 보고 썩은 냄새가 나는 트림을 할때도 효과가 있다. 또한 설사 이질등에도 쓰인다.

 

항균작용이 있다.

산사를 진하게 달인 탕제는 각종 적리균및 녹농균에 대해 억제 작용이 있다.

 

자궁수축작용이 있다.

생리통,부인과 질환에 의한 요통 산후오로증등에 쓴다.

 

어떻게 먹는게 좋을까?

 

속이 냉하고 소화장애가 심한 경우

산사자20g, 계피 20g을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면 설탕을 조금 타서 하루동안 여러차례 나누어 마신다. 혈액순환장애가 있을때도 좋다.

산후 어혈로 아랫배가 몹시 아픈 경우

산사자 15~20g을 물 300cc로 끓인 다음 반으로 줄면 설탕을 조금 타서 마신다.

협심증의 경우

산자자 12g, 금은화 12g(혹은 연잎을 함께 넣어도 좋다)을 물 500~700cc로 달여 반으로 줄면 하루동안 나누어 마신다. 종기를 비롯한 여러 염증을 가라앉히는데도 도움이 된다.

급성 장질환으로 설사할 경우

산사열매속에 들어있는 씨를 발라내 하루 20~40g씩을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여 하루동안 나누어 마신다. 혹은 산사육을 볶아 가루내어 적리에는 벌꿀로 개고 백리에는 누런 설탕과 흰설탕을 섞고 적백리에는 벌꿀과 설탕을 각각 절반씩 섞어서 1회에 4~8g 을 온수로 빈속에 복용한다.

노인요통의 경우

산사육,녹용을 각 같은양 가루내어서 벌꿀로 0.3g크기의 알약을 지어 1회에 100알을 1일2회 복용한다.

 

☆ 주의 사항

 

 

☞ 비위가 약하여 평소 대변이 묽거나 잘 먹지 못하는 경우, 혹은 평소 쇠약한 경우나 병을 앓고 난 후에는 복용에 주의해야한다. 충치가있는 사람에게는 특히 해롭다.

 

☞ 생것을 너무 많이 복용하면 변조하고 쉽게 배가 고프며 치아가 손상된다. 그러므로 공복에 복용해서는 안된다.

 

☞ 인삼과 함께 복용하면 안된다

 

 

        자료 출처 : 우리 약초로 지키는 생활한방 3(MBC 라디오 동의보감 신재용박사 저)中에서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