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독성 실험 결과 무독성 입증 | ||||||||||||||||||||||||||||||||||||||||||||||||||||||||||||||||||||||||||||||||||||||||
실험기관 : 한국화학시험 연구원(2005.5) ■ 독성 실험 결과 편백정유를 투여한 쥐에게서 체중변화, 육안적 관찰, 일반증상 등 어떠한 부분에서도 이상 징후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
실험기관 : 국립산림과학원, 충북대 동물의학연구소 공동(1998.6) ■ 편백 정유를 투여한 모든 쥐가 생존을 하였고 혈청검사에서도 이상 징후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
【평가】 위의 두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정유를 희석하거나 휘산시켜 흡입하는 경우라면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전혀 하지 않아도 되는 물질임을 입증되고 있습니다. | ||||||||||||||||||||||||||||||||||||||||||||||||||||||||||||||||||||||||||||||||||||||||
2.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감소 효과 | ||||||||||||||||||||||||||||||||||||||||||||||||||||||||||||||||||||||||||||||||||||||||
실험기관 : 국립산림과학원, 충북대 동물의학연구소 공동(1998.6) 실험내용 : 실험용 쥐에게 110볼트의 전류를 0.03초 동안 3초 간격으로 1분간 흘려보내 전기자극을 가하여 스트레스를 높이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cortisol)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됩니다. 이 때 4종의 침엽수(소나무,잣나무,편백,화백) 정유를 기화시켜 쥐에게 각각 흡입시킨 뒤 코르티솔(cortisol)의 혈중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습니다. | ||||||||||||||||||||||||||||||||||||||||||||||||||||||||||||||||||||||||||||||||||||||||
| ||||||||||||||||||||||||||||||||||||||||||||||||||||||||||||||||||||||||||||||||||||||||
3. 강력한 항균성 및 항진균성 | ||||||||||||||||||||||||||||||||||||||||||||||||||||||||||||||||||||||||||||||||||||||||
실험기관 : 충북대 동물의학연구소(2003.4) 실험내용 : 각종 균에 대한 편백정유의 살균력을 시중 약물(항생제, 항진균제) 의 살균력과 비교할 수 있도록 배양된 균이 있는 배지에 약물과 편백정유를 각각 처치한 뒤, 살균의 범위를 나타내는 원형 환의 크기를 비교한 것입니다. | ||||||||||||||||||||||||||||||||||||||||||||||||||||||||||||||||||||||||||||||||||||||||
| ||||||||||||||||||||||||||||||||||||||||||||||||||||||||||||||||||||||||||||||||||||||||
* 수치는 대조약물과 편백정유 희석액의 각 균에 대한 살균력을 비교한 수치임
[평가] | ||||||||||||||||||||||||||||||||||||||||||||||||||||||||||||||||||||||||||||||||||||||||
4. 탁월한 소취효과 | ||||||||||||||||||||||||||||||||||||||||||||||||||||||||||||||||||||||||||||||||||||||||
실험기관 : 한국화학시험연구원(2003.3) 실험내용 : 10L 용량의 테들라백 안에 염기성 악취 유발물질인 트리메틸아민 가스를 주입하여 초기 농도를 500ppm으로 맞춘 뒤, 편백 정유 5mL를 주입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트리메틸아민 가스의 농도변화를 측정하여 탈취효과를 측정했습니다. | ||||||||||||||||||||||||||||||||||||||||||||||||||||||||||||||||||||||||||||||||||||||||
| ||||||||||||||||||||||||||||||||||||||||||||||||||||||||||||||||||||||||||||||||||||||||
5. 피톤치드 항균섬유에 대한 실험 | ||||||||||||||||||||||||||||||||||||||||||||||||||||||||||||||||||||||||||||||||||||||||
실험기관 : 한국의류시험연구원(2003.5)
(1) 포도상구균 및 폐렴균 살균율 99.9% 이상 | ||||||||||||||||||||||||||||||||||||||||||||||||||||||||||||||||||||||||||||||||||||||||
| ||||||||||||||||||||||||||||||||||||||||||||||||||||||||||||||||||||||||||||||||||||||||
(2) 피부자극 이상 없음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피톤치드 항균섬유를 1.5cmX1.5cm 크기로 잘라 피부에 부착한 뒤 24시간 후의 피부 변화를 측정한 결과 음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즉, 피톤치드 항균섬유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 ||||||||||||||||||||||||||||||||||||||||||||||||||||||||||||||||||||||||||||||||||||||||
(3) 소취효과 탁월 암모니아가스(NH3)가 들어있는 500ml의 용기에 10X10cm 크기의 피톤치드 항균섬유를 넣은 뒤 암모니아 냄새의 제거율을 측정한 결과, 30분 후에 84%, 2시간 후에는 89%의 높은 소취율을 나타냈습니다. | ||||||||||||||||||||||||||||||||||||||||||||||||||||||||||||||||||||||||||||||||||||||||
| ||||||||||||||||||||||||||||||||||||||||||||||||||||||||||||||||||||||||||||||||||||||||
(4)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강력한 기피 효과 집먼지진드기 중에서 국내에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는 큰다리 먼지진드기와 세로무늬 먼지진드기를 대상으로 피톤치드 항균섬유를 얼마나 기피하고 있는지 여부를 세가지 실험방법(침입저지법, 확산저지법, 시험관법)을 적용하여 24시간 경과한 뒤, 결과치를 측정하였습니다. 이 결과 실험방법에 따라 약 85%~95%의 진드기가 피톤치드 마이크로캡슐이 작용하는 섬유를 기피하여 도망간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 ||||||||||||||||||||||||||||||||||||||||||||||||||||||||||||||||||||||||||||||||||||||||
| ||||||||||||||||||||||||||||||||||||||||||||||||||||||||||||||||||||||||||||||||||||||||
(5) 편백 정유의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시험 피톤치드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어떤 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실험을 충북대 동물 의학 연구소에서 실험 연구 하여본 결과 저농도의 피톤치드에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2003년 9월~12월) 연구보고서상의 결론 부분만 발췌. 【평가】 본 시험에서 이용된 편백 정유는 마우스를 이용한 경구 독성 실험 결과 독성이 없는 물질로 밝혀져 있으며, 본 실험의 경우 태아가 폐사하는 원인은 성체 보다 태아가 적용물질에 민감하게 반응 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계태아에 접종한 바이러스의 중화 능력을 갖는 편백 정유의 유효 농도는 7~8 % 범위 일것으로 추정 된다. | ||||||||||||||||||||||||||||||||||||||||||||||||||||||||||||||||||||||||||||||||||||||||
피톤치드(방향성 물질) 피톤치드는 수목이 내뿜는 방향성 물질인 테르텐 계통의 유기화합물이 주를 이루지만, 향기가 그 전부는 아니다. 피톤치드를 구성하는 수십 가지의 물질 중에는 향기와 무관한 성분도 있다. 피톤치드에는 휘발성인 테르펜류 이외에도 알칼로이드, 배당체, 플라보노이드, 페놀성 물질 등 비휘발성 물질도 다량 있다. 산에서 자라는 나무중 활엽수보다 칩엽수에서 피톤치드가 많이 방생한다.
|
* 출처 : 샘나 생활건강정보(http://www.samna.co.kr)
'야초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삼의 칠효설(七效說) (0) | 2009.06.29 |
---|---|
잡마니 산행의 전리품 (0) | 2009.06.27 |
심 또 봤다 !! (0) | 2009.06.24 |
블루 베리의 효능 (0) | 2009.06.21 |
노루발풀 (0) | 200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