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명탕 |
중고등학생들이 가진 고민 중에서 제일 큰 것은 진로와 학업에 대한 고민이라고 한다. 더구나 현재 대한민국의 상황은 학업이 새로운 지식을 알고 싶어 하는 욕망을 넘어, 신분 상승과 부를 누릴 수 있는 기회로 여겨지고 있다. 여기에 시험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몇 점의 점수에 희비가 갈리게 되고 조금이라도 더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온갖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한의원에도 많은 수험생들이 몰려서 머리가 맑아져서 집중이 잘되고, 시험을 치는데 떨리지 않도록 해주는 처방을 찾기도 한다. 그 중 대표적인 처방이 총명탕이다. 좋은 성적에 대한 열망은 최근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미 많은 한의학문헌에서 이미 과거에도 과거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한 처방이 존재 했는데, 동의보감에만도 머리를 총명하게 한다는 총명탕, 장원급제 시켜준다는 장원환, 그 공부 잘했다는 주자의 이름을 딴 주자독서환, 공자의 이름을 딴 공자대성침중방(孔子大聖枕中方)등이 그것이다. 그 중에서도 총명탕은 그 이름만으로도 많은 사람들의 기대를 가지게 하며, 처방이 간단하면서도 독성이 없고 복용하기가 편하고, 효과도 탁월하여 인기가 많다.
1. 총명탕의 기원 총명탕은 중국 명나라 때 태의원 의관인 “공정현”(1522~1619)이 창안한 처방이다. 그의 아버지 “공신”도 태의원(太醫院) 의관(醫官)으로 지냈다고 하며, 그는 만병회춘(萬病回春), 수세보원(壽世保元), 제세전서(濟世全書), 고금의감(古今醫鑑), 운림신각(雲林神殼), 본초포제약성부정형(本草포製藥性賦定衡), 종행선방(種杏仙方), 노부금방(魯府禁方) 등과 같은 여러 권의 책을 저술하였는데, 후대의 의가들은 그를 평하길 “의도는 완전한 것을 추구하였으나 실재로 중복된 것이 많고, 제가의 의론을 절충하였으나 자신의 의견은 적다”고 폄하 했다. 총명탕이라는 처방은 그의 책 중에서 1581년에 간행된 '종행선방'에 수록되어 있다. 비록 처방은 간단하지만 그 효과는 지대하다.
2. 문헌에서 보이는 총명탕 동의보감에는 [聰明湯]治多忘久服能日誦千言白茯神遠志以甘草水泡去骨薑汁製石菖蒲各等分右좌每三錢水煎服或爲末每二錢茶湯點服日三<種杏> 이라 하였다. (건망증을 치료하며, 오래 복용하면 하루에 천마디 말을 외울 수 있다. 백복신,원지-감초물에 담군 다음 심을 제거한후 생강즙에 법제한다, 석창포를 등분하여 썰어서 매 3돈씩 끓여서 복용하거나 갈아서 2돈씩 차와 같이 복용하는 것을 하루 3회한다)
어떤 수험생에게 총명탕이 필요한가? 동의보감에 보면 총명탕을 꾸준히 복용하면 하루에 천 마디 말을 외울 수 있다고 말할 정도로 효과에 자신하던 처방이다. 집중력이 떨어진 수험생이나 기억력이 떨어지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처방이다. 1)기억력이나 집중력이 저하되어 고민 하시는 분 2)오랜 수험생활로 체력이 저하 및 수면부족과 두통을 호소하는 수험생 3)노화로 인한 기억력 감퇴나 치매 증상 치료 및 예방 4)오랜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고생하시는 분 5)뇌세포 영양 공급 |
총명탕의 재료
총명탕의 처방 내용을 보면 백복신, 원지, 석창포로 어떻게 보면 단순한데 각 약재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백복신(白茯神)
백복신 백복령
백복신은 20년 이상 된 소나무뿌리에 기생하는 구멍쟁이 버섯과의 버섯일종으로 일반적으로 백복령(白茯?)이라고 부른다. 그 중에서 백복령의 내부에 소나무 뿌리가 있는 경우를 특별히 백복신이라고 부르는데, 다른 부위에 비해 경고한 편이다. 내 생각에는 소나무 뿌리가 관통하면서 버섯균이 다른 부위와 다른 환경을 가질 것이라 추측된다. 즉 수분 공급이나 소나무 뿌리를 통한 미네랄의 분포가 다르게 되어 품질의 차이를 불러 오는 것이 아닐까? 백복신은 독성은 없다. 심장을 튼튼하게 하여, 마음을 편안하게하고 체내 수분대사에 관여하여 이뇨작용이 있다고 알려졌다.
왼쪽 사진은 백복신이고 오른쪽 사진은 백복령이다.
2) 원지(遠志)
원지(수치 전) 원지(수치 후)
원지는 원지나무의 뿌리껍질이며 따뜻한 성질을 가졌다. 원지 역시 독성은 없고, 효능은 심장을 튼튼하게 하여 혼란된 정신을 진정시키며, 담을 제거하여 정신을 맑게 하여 심신불안, 수면장애, 건망증, 가슴 떨림 등에 응용된다. 정신기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감초 끓인 물에 담가 둔 다음 볶아서 사용한다.
왼쪽 사진은 수치 전의 원지이고 오른쪽 사진은 감초끓인 물에 담가둔 다음 볶아 놓은 원지사진이다.
구산한의원에서는 원지 수치를 한의원에서 직접 하고 있다.
3) 석창포(石菖蒲)
석창포는 천남성과 식물인 석창포의 뿌리다. 따뜻한 성질로 독이 없다. 독특한 냄새를 가지고 있다. 효능은 습기를 제거하여 위장기능을 돕고, 담을 제거하여 기의 통로를 열고, 정신을 맑게 하며 정신의 기능을 북돋운다. 인체의 맑은 기운의 상승을 돕게 되므로 정신이 혼미하거나, 머리가 맑지 않고, 기억력이 저하되거나, 치매 등의 증상에 효과가 좋다.
총명차 만들기
• 백복신 50g, • 원지 20g, • 석창포 20g, • 감초 30g
◈ 끓이는법 ◈
① 원지 20g[일첩½] 석창포 20g[일첩½] 감초 30g[일첩½]을 흐르는 물 에 살짝 헹굽니다.
② 위 재료를 물 2ℓ을 넣은 후 10시간 정도 담아 놓습니다.
③ 10시간이 지난 후 건더기[원지, 석창포, 감초]는 걸러낸 후 백복신 일첩을 넣고 끓입니 다.
④ 물이 끓으면 중불로 줄여 10분 정도 달여줍니다.
⑤ 앙금이 가라앉은 후 국물만 따라내어 줍니다.
⑥ 일일 2~3회 정도 드시는것이 좋습니다.
⑦ 드실때에 입맛에 맞게 약간의 꿀과 설탕을 가미하여 드십시오.
◈ 보관방 법 ◈
• 총명차는 냉장고에 보관 후 드시면됩니다 .
◈ 茶에 대하여.....
• 재료를 물에 담아둘때 너무 오래 담가두면 상할 위험이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집중력감, 피로로 인한 체력감퇴, 두통가 지끈거림, 수험생이나 건망증이 있는 사람, 기억력이 부족한 사람, 성격이 불안정하여 항상 불안초조한 사람에게 좋습니다.
총명차는 뇌를 통하는 혈액을 맑게, 집중력을 향상하고 학업능률 향상, 학업으로인한 피로감 감소, 뇌의 성장을 길러 주면 뇌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여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 맛으로 오장육부 질병 치유하는 법 (0) | 2023.08.09 |
---|---|
전통 한약 질량 단위(푼,돈,냥,근) (0) | 2017.04.05 |
겨울철 식수대용으로 끓여 먹기 편리한 용도별 천연 한방약초차 세트 만드는 법 (0) | 2015.12.16 |
거칠어진 피부 (0) | 2011.08.24 |
음식별 효능 (0) | 201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