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도가 미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exp5. 탁도측정법 & 온도가 미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 미생물 보존법
1. Instruction
1) 탁도측정법
- 조사해야할 표본의 수가 많은 경우 또는 세균의 생장률 등을 조사하고자 할 때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
- 세균의 배양액에 일정한 파장의 빛을 통과시켰을 때 용액은 그 빛을 흡수함
- 이 때, 흡수된 빛의 양이 용액의 세포농도에 비례함을 이용한 방법
- 세균의 수(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광도는 비례하여 증가
- 반대로 투과된 빛의 양은 시료 속의 세균의 수에 반비례
2) 미생물 생장 곡선
- 지체기
: 세포의 수가 증가하지 않는 초기
: ATP, 필수적인 보조인자, 리보좀 등이 부족하기 때문에 합성하는 시기
: 새로운 배지에 다른 영양물질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효소를 합성
- 대수기
: 배지의 조성 및 생장 조건 아래에서 분열할 수 있는 최고의 속도로 분열
: 생장속도는 일정하게 나타나서 일정한 간격으로 숫자가 2배로 증가
: 모든 세포가 동시에 분열하지 않기 때문에 생장곡선은 부드러운 곡선 증가
- 정체기
: 미생물의 총 세균의 수는 일정
: 세포의 분열과 세포의 사멸이 평형을 이룰 때 나타남
: 집단의 세포가 대사적인 활성을 유지한 채로 단순히 분열을 멈추는 경우
- 사멸기
: 독성 노폐물의 축적과 불리한 환경의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
: 대수기와 마찬가지로 매시간 일정한 부분이 사멸함
3) 온도가 미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 미생물의 생장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적합한 온도
- 이러한 온도를 최적온도(Optimal Temperature)라고 함
- 온도를 최적온도 이하로 낮게 하거나 높게 하면 미생물의 생장률이 감소
- 최고온도와 최적온도는 생물체에 포함된 효소에 의해 결정되며 이 온도는 크게 저온균, 중온균, 고온균으로 구분
① 저온성 세균
: 최적 생장온도는 10~15℃, 생장 온도범위가 0~25℃인 세균
: 냉장조건에서 분리되며, 냉장식품의 부패는 저온성 세균으로 인한 것임
② 중온성 세균
: 최적 생장온도는 25~40℃, 생장 온도범위가 10~50℃인 세균
: 대다수의 세균은 중온성 세균임
③ 고온성 세균
: 최적 생장온도는 50℃이상이며, 생장 온도범위는 40~80℃인 세균
: 고온성 세균은 90℃ 온천에서도 생존할 수 있음
4) 미생물 보존법
- 균주(세균)을 어떤 연구 목적에 이용하기 위하여 생리활성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기간, 대부분은 반영구적으로 보존하는 것
- 미생물 보존 시 주의할 점
: 보존중에 사멸이나 변이를 방지
: 보존기간을 길게 유지
: 오염이 일어나지 않게해야 함
: 조작이나 필요한 장치 등이 가능한 한 간단
: 대부분 냉장 보관
- 미생물 보존법
사면배지법 (Slant culture) |
- 코오지한천, 맥아즙한천배지 : 효모, 곰팡이 - 육즙한천배지 : 세균의 보존 - 곰팡이와 세균은 6개월, 효모는 3~6개월 보존가능 - 2~4℃에서 보존 | |
천자배지법 (Stab culture) |
- 젖산균 등의 혐기성 세균보존에 이용 | |
당액증보존법 (Preservation in sugars) |
- 효모보존에 사용하는 일반적 방법 - Hansen 병에 살균한 10% 설탕액을 넣고 여기에 새로 배양한 소량의 효모를 가하여 냉암소에서 보존 | |
모래배지법 (Sand culture) |
- 건조상태에서 오래 견딜 수 있는 세균 또는 곰팡이의 보존에 사용 - 바다모래를 산, 알칼리 및 물로 여러번 씻어 시험관 깊이 2~3cm정도 넣고 건열살균 - 여기에 3~4일 간 배양한 균체를 약 1ml정도 첨가하여 모래와 잘 혼합시켜 진공중에서 건조시킨 후 시험관을 밀봉하여 보존하는 것 - 수년간 보존 가능 | |
토양증보존법 (Preservation in soil) |
- 세균, 곰팡이 및 효모에 이용가능 - 장기보존가능 - 건조한 토양에 물을 가하고 수분의 약 25%가 되도록 시험관에 분주하여 121℃에서 3시간 살균하고 2~3일 후에 다시 한 번 살균한 후 포자나 균사현탁액을 가하여 실온에서 보존 | |
유증보존법 (Preservation in oil) |
- 곰팡이 보존에 사용 - 고체배지에 배양한 후 균체 위에다 살균한 광유를 1cm 두께로 부은 후 보존 - 배지의 건조를 막아 3~4년 보존가능 - 냉장 보관 | |
동결건조 보존법 ( Methods of storing cultures by freeze-drying) |
- 동결처리한 세포부유액을 진공저온에서 건조시켜 용기의 앰플을 융봉하여 저온에서 보존 - 세균, 바이러스, 효모, 일부의 곰팡이, 방선균 등의 포자를 장기보존 - 세포의 분산매로 탈지유, 혈청 등을 사용 | |
L-건조법 (L-drying preservation) |
- 동결건조법에서 발생되는 동결에 의한 장애를 받기 쉬운 세균의 보존에 많이 이용 - 농후한 세포부유액을 앰플에 넣어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감압, 저온에서 건조시켜 진공상태에서 앰플을 융봉하여 보존 - 동결건조의 변법 | |
동결보존법 (Deep Freezing Methods) |
- 곰팡이, 효모 및 세균의 장기보존에 이용 - 동해예방제로 디메틸 황산화물(DMSO), 글리세린 등을 넣어 보존 - -70℃에서 보관 |
- 동결보존법의 장점
: 보존에 사용된 포자가 직접 발아하기 때문에 형태상 또는 생리적 변이가 거의 없고 장기간 보존이 가능
: 잡균의 오염이 거의 없고 저장이 간편
2. Materials
- Salmonella 액체 배양체(Overnight culture 24시간 배양), PBS, Lactose broth medium, Spectrophotometer, Cell
- Salmonella 액체 배양체(Overnight culture 24시간 배양), Loop, 냉장고, Incubator(37℃)
- 균주, Glycerol, 1.5ml tube, 파이펫, tip, ice, deepfreezer
3. Methods
1) 온도가 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① 각 세균을 Lactose agar media에 0.1ml씩 2개 접종한다.
② 각각의 배지를 4℃, 37℃에 배양한다.
③ Overnight 시킨 후에 관찰하여 배양 정도를 확인한다. (Colony 수의 확인)
* Lactose agar media (g/L)의 조성
- Beef extract : 3g
- Peptone : 5g
- lactose : 5g
- Agar : 15g (1.5%)
2) 균의 보존 방법
① Glycerol 30g에 증류수를 20ml 넣고 Final 50ml이 되게 하여 60% Glycerol을 만든다.
② 60% Glycerol을 Autoclave에 10분 멸균한다.
③ 60% Glycerol을 15ml tube에 분주하여 오염에 주의하여 사용한다.
④ 1.5ml tube에 60% Glycerol을 미리 500㎕를 분주한다.
⑤ 보존하고자 하는 세균을 500㎕를 ④번 tube에 넣어준다.
⑥ tube를 신속하게 Ice에 옮긴다.
⑦ -70℃ deepfreezer에 보존한다.
3) SolGent Plasmid Mini-Prep Kit using a microcentrifuge 이용
Protocols
: 키트 사용전 80% (v/v) Ethanol 준비
: 80% ethanol은 WB bottle에 담아서 사용
: RNase A powder를 Buffer SP1에 첨가하여 섞어준 후 사용, 4℃에 보관
① Cell Harvest and Suspension
: 미생물 배양액 1~3ml을 2분간 원심분리하여 cell pellet을 얻는다. (1ml 2개)
: 250㎕의 Buffer SP 1 (containing RNase A)으로 cell pellet을 현탁시킨다. → 가라앉은 염 사용
② Cell Lysis and Neutralization
: 250㎕의 Buffer SP 2를 넣고 tube의 뚜껑을 닫고 10회정도 위 아래로 돌려서 부드럽게 섞어준다.
이 때, vortex 등으로 심하게 흔들어서 섞으면 안됨.
: 350㎕의 Buffer SGP 3를 넣고 위아래로 4~6회 돌려서 부드럽게 섞어준다.
: 상온에서 10분간 원심분리 (13,000rpm) → 상층액 사용
③ Column Loading
: Spin column을 2-ml collection tube(키트에 포함)에 장착시킨다.
: Step 2의 원심분리로 얻어진 상층액 (supernatants)을 장착된 Spin column으로 옮긴다.
: 10,000rpm으로 약 30초간 원심분리
: 아래 collection tube로 내려간 용액은 버리고 Spin column을 다시 장착한다.
이 때, DNA는 spin column의 membrane에 결합하여 있게 된다.
④ primary Washing (Optional)
: Spin column에 500㎕의 Buffer WB (80% Ethanol)를 넣고 원심분리 (12,000 rpm, 30초)
: Collection tube로 내려간 용액은 버리고 Spin column은 다시 장착한다.
⑤ Secondary Washing
: 750㎕의 Buffer WB (80% Ethanol)를 Spin column에 넣고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12,000 rpm, 30초)
: Collection tube로 내려간 용액은 버리고 2분간 원심분리 (12,000 rpm)를 다시 한 번 한다.
이 과정을 거쳐야 남은 Buffer WB가 완전히 제거된다.
⑥ Elution
: Spin Column을 깨끗한 1.5ml microtube (not provided)에 옮겨서 장착시킨다.
: 30~50㎕의 Buffer EB 또는 멸균된 증류수를 Spin Column의 membrane 중앙에 바로 떨어뜨린다.
: 상온에서 1분간 놓아둔 후에 원심분리 (12,000 rpm, 1분)하여 정제된 DNA solution을 얻는다.
4. Discussion
1) Spectrophotometer (분광광도계)
: 광원에서의 빛을 모노크로미터에 의해 단색화하여 시료 용액에 투과시켜 투과광의 강도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장치
색채 측정을 위해 최소 380~780nm 영역의 빛을 측정하도록 설계되며 분광광도계는 광원, 시료 측정의 관측 조건을 결정하는 광학장치,
빛을 분광시키는 분광장치, 빛을 분석하기 쉬운 신호로 변환시키는 광 검출기와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됨.
2) 온도 범위에 따른 미생물의 생장
: 미생물의 생장에 대한 온도 범위는 세 가지의 기본 생장온도로 나타냄
- 최저 온도 : 미생물의 계속적인 생장과 물질 대사를 허용하는 가장 낮은 온도로 이 온도 이하에서는 미생물의 활성이 저해됨
- 최고 온도 : 생장과 물질대사가 진행될 수 있는 가장 노은 온도로 온도가 최고치 이상으로 약간만 올라가도 생장은 멈춤
- 최적 온도 : 최저 온도와 최고 온도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작은 온도 범위를 나타내며 가장 빠른 속도의 생장과 물질대사를 가져오게 함
Psychrophile (호냉성 생물) |
15℃ 이하의 최적 온도를 가지면서 0℃에서 생장 | |
Mesophile (호중온성 생물) |
미생물의 대부분이 잘 자라는 온도. 최적 생장온도는 20~40℃의 범위 안에 포함됨 | |
Thermophile (호열성 생물) |
45℃ 이상의 온도에서 가장 잘 자람. 일반적으로 45~80℃까지의 생장온도 범위 | |
Hyperthermophile (극호열성 생물) |
80~250℃ 사이까지의 범위 (현재 효소나 세포구조가 견딜 수 있는 온도의 한계로 생각됨) |
3) 동결 건조시 Glycerol의 역할
: Glycerol은 무색 투명하고 단맛이 나는 끈기 있는 액체로 흡습성 (물질의 주변 환경으로부터 물 분자를 끌어당기고 보유하려는 능력)이 강하다.
용액 상태 등에 있는 시료를 동결하여 그대로의 상태로 감압하에 방치함으로써 시료 중의 수분을 승화시켜 제거하는 건조법인 동결 건조를 할 때
Glycerol이 강하게 냉각되면서 녹는점 17.8℃의 결정을 얻는데, 과냉각상태가 된다.
온도가 갑자기 변하면 구성원자가 각 온도에 따른 안정상태로 변화할 만한 여유가 없기 때문에 세포가 파괴될 수 있다.
이 때 과냉각 상태가 가장 안정한 결정형인 상태가 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동해예방제 →세균파괴방지)
5. Reference
분광광도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995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05915
온도 그래프 http://211.174.114.20/r.asp?no=11475
동결건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04684
글리세롤 http://100.naver.com/100.nhn?docid=26839
과냉각 http://100.naver.com/100.nhn?docid=17188
Kathleen Park Talaro, 미생물학 길라잡이 6판, 2009, 라이프사이언스, p.210
출처 : 네이버 경이님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