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초우리

천궁

자연인206 2015. 11. 19. 16:29
반응형
SMALL

 

구입상담을 원하시면 ↑을 클릭해보세요

 

 

다년생 초본인 궁궁이 식물의 근경을 천궁이라 하며, 중국의 사천성 생산품이 가장 좋았기 때문에 천궁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천궁(川芎)은 산형과의 다년생 초본식물인 천궁(토천궁 : chuanxiong Hort)의 근경을 그대로 또는 열탕에 데쳐 말린 것을 우리나라와
중국은 기원으로 하고 있으나 일본은 일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의 근경을 열탕에 데쳐 말린 것을 기원으로 하고 있다. 최근에는 청송 영양지역을 중심으로 일천궁의 재배면적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다년초라 해도 대량 재배는 봄에 파종해 가을에 수확하는게 보통이다.
정식은 일천궁이 토천궁보다 추위에 약하므로 주로 봄에 심고 토천궁은 추위에 잘 견디므로 가을에 심는 것이 보통이다.
천궁의 뿌리줄기에 senkyunolide, ligustilide, butylidenpthalidbutylpthalide, cnidilide 등의 주요성분을 함유하는데 주성분인 ligustilide, butylidenpthalide 한량은 토천궁이 많다고 한다. 약리작용은 진경, 진정, 혈압강화, 항균, 항진균 작용 및 비타민 E 결핍증 치료작용이 있어 한방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로부터 온성정혈약, 보혈약, 강장약, 진정약으로 빈혈증, 냉증, 월경불순, 부인병에 흔히 당귀와 함께 쓰였다. 뿌리 뿐 아니라 전초도 같은 치료 효과가 있다
특히 진통효과가 세므로 두통에는 반드시 천궁을 넣습니다.
풍한두통에는 형개, 차조기, 풍온두통에는 국화와 같이 씁니다.

옛날 우리 조상들은 창포나 천궁과 같은 식물의 줄기를 삶은 물이나명태머리 삶은 물로 머리를 감았습니다. 창포나 천궁과 같은 자연의 세제는 세제의 가장 중요한 특성인 기름의 유화작용과 분산작용이 있어 훌륭한 세척효과, 머리에 윤기를 주는 영양효과, 은은한 향을 발산하는 향료효과,발모 효과 및 피부미용효과는 물론 모발, 두피에 부작용이 없고 모발을 건강하게 할수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비누로 머리를 감을 경우 머리카락이 뻣뻣하게 되어 빗질이 잘 안 되는 문제를 해결해줍니다.
 
당귀와 천궁은 천생 배필이다. 천궁이 당귀의 작용을 높여 주는 작용을 하는데, 당귀와 천궁만을 섞어서 조제하는 처방으로 '궁귀탕'이라는 것이 있다.
궁귀탕은 임산부의 생체 기능을 좋게 하고 출산 때 골반이나 자궁을 확장시켜 통증을 덜어주고 월경을 조절하며 원활한 혈액 순환을 돕고 혈허를 보충하는 작용을 한다. 이밖에 산후 어혈을 제거하고 젖 분비를 늘리는 작용도 빼놓을 수 없다. 산후에 천궁과 당귀를 20그램씩 섞은 뒤 달여 따뜻할 때 복용하면 젖이 잘 돌고 아기를 낳은뒤 허약해진 몸을 조리하는 데도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또 혈압을 낮추고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두통, 어지럼증, 고혈압, 협심증, 근육 마비, 류머티즘, 중풍 후유증, 신경통 , 수족 냉증 등에 좋은 약이 된다.
 
천궁은 여성의 생리에 도움을 주는데 하복이 차서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생기는 월경통증 또는 월경불규칙을 도와준다.여성의 대표적인 혈액순환을 시켜주는 보약으로 사물탕이 있는데 이곳에도 사용이 된다.
혈액순환의 잘못으로 빈혈, 두통, 현훈에도 사용된다.
 
티눈이나 사마귀를 없애는 데는 천궁을 2,3mm 정도로 썰어서 환부에 붙여두면 말끔히 없어진다.
치질도 마찬가지로 치료할 수도 있다.
또, 구취 증상이 있을때는 천궁을 잘게 썰어 입에 물고 있는 간단한 방법으로 냄새를 줄일 수 있다.
진통, 진정제로도 효과가 우수하여 두통,어지럼증, 빈혈 등에 쓰고 강장약으로도 효과가 뛰어납니다.
약리작용
1)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 동물의 중추신경계에 대해 진정 작용합니다.
2) 심장 혈관에 대한 작용 : 천궁의 침제는 마취시킨 동물의 혈압을 떨어뜨립니다.
3) 평활근에 대한 작용 : 수축 작용
4) 항균작용 : 대장균, 이질균, 프로테우스균, 녹농균, 상한균, 파라티푸스 및 콜레라균 등에
억제 작용합니다. 또 천궁에는 일종의 항 비타민E 결핍증 작용이 있고비타민 E의 결핍에 의하여생기는 영양성 뇌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5) Ferulic acid가 진통, 진경 작용과 평활근 이완 작용을 하여 장관의 경련이나 임신자궁의 수축, 경련을 억제합니다.
6) 정유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대뇌 활동을 억제하여 진정 작용을 하며 카페인의 흥분 작용에 길항합니다.
7) 관상동맥, 말초혈관을 확장하여 하지(下肢)와 심근(心筋)의 혈류량을 증가합니다.
8) 보통 1회 용량 3g이하에서는 혈압을 상승 시키고 3g 이상에서는 혈압을 저하시킨다.
 
민간요법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가슴이 냉한테 ; · 간질(癎疾) : 난산(難産) 눈물이 많이 날 때 :대하증(帶下症) :
강장보호(腔腸保護) : · 건선(乾癬 : 몸이 차가울 때 :보신(補身) : 자양(滋養) 월경이상(月經異常) : 복통(腹痛) : · 부인병(婦人病) : · 부인붕루(婦人崩漏) : · 산통(疝痛) : · 음위증(陰?症) :· 음축(陰縮) : · 입냄새(구취:口臭) : · 자궁출혈(子宮出血) : · 전립선 비대(前立腺 肥大) : · 정혈(精血) : · 졸도(卒倒) : 치통(齒痛) : 진경(鎭經) : · 진정(鎭靜) : · 진통(陣痛) : ·· 통경(通經) :· 편두통(偏頭痛) : 풍(風) : · 행기(行氣) : · 행혈(行血) : · 현기증(眩氣症) : 혈액순환(血液循環) :혈폐(血閉) : . · 협통(脇痛) :

마른버짐 : 뿌리 10∼12g을 달여서 10회 이상 복용하면서 그 물을 환부에 바른다.
궁귀교애탕 : 천궁, 감초, 약쑥 각3g, 당귀, 작약, 각4.5g, 건지황 6g,으로 물200cc되게 달여서 임신출혈, 장출혈, 흰이슬 등에 하루3번에 나누어 마십니다.
궁귀환 : 천궁, 당귀 각 분말 300g, 꿀 400g, 안식향산나트륨 5g, 으로 환을 지어 월경불순, 냉증, 자궁병, 산후쇠약, 신경쇠약, 식욕부진, 등에 보혈제로 하루 7g씩 3번 먹습니다.

주의
천궁은 기름이 많은 약인데, 이 기름은 머리를 아프게 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반드시 제거하고 써야 한다. 천궁의 기름은 뜨거운 곳에 들어가면 쉽게 기름이 빠지는데 너무 오랫동안 끓인 물에 담가 놓으면 약성까지도 빠져나갈 우려가 있으므로 약 5분정도가 적당하다.
하지만 현재 한약건재상에서 법제 하여 판매하는 경우는 없기에 이용시는 집에서 법제를 하셔서 이용함이 좋다

***죽어가는 소나무 뿌리에 천궁 삶은 물을 주면 회생한다는 말이 있다.***
궁궁이는 1.5m 정도로 곧게 서서 자라는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중간부 이상에서 여러 개의 가지를 치며 가지의 끝부분에는 잔털이 산재해 있다. 잎은 전체적으로 큰 세모꼴을 이루는데 깃털모양으로 세차례 되풀이해서 작게 갈라진다. 꽃은 다섯 장의 흰 꽃잎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크기는 매우 작다. 8~9월에 꽃이 핀다. 전국에 분포하며 주로 산골짜기의 계류와 같은 물기 많은 곳에 난다.
늦가을 서리가 내린 뒤에 뿌리 (천궁)를 캐어 물로 씻은 다음 뜨거운 물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뿌리를 달여서 사용하는 것과 향기름 성분은 중추신경계통에 작용하는데, 적은 양을 먹이면 흥분작용을 일으킨다. 그러나 많은 양을 복용하게 되면 그 흥분을 억제하고 대뇌를 마비시키는 기능을 함으로 혈압이 낮아지고 열이 내리는 가운데 운동력이 마비되면서 허탈감에 빠지게 된다. 그러므로 궁궁이 뿌리는 피로와 불면증을 해소시키는 작용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생약의 약리작용은 미묘한 데가 있어 낮과 밤에 복용하는 시간 차이에 따라서, 혹은 복용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효능해설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생약의 신비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기묘한 신비에 대하여 양의학자들은 놀라움과 함께 쉽게 믿으려 하지 않는다.
궁궁이 뿌리는 혈액을 맑게 하며 보혈과 강장의 효과를 발휘하며 혈액순환을 원할하게 한다. 이것은 부인병 치료에 직접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월경 불순, 생리통, 산후 복통, 월경이 끊어졌을 때, 지나친 자궁 출혈로 인한 빈혈증에 효과를 나타내며  자궁 수축에도 좋은 구실을 한다.
당귀와 함께 쓰면 더 효과적이며 전초도 같은 효능이 있다. 통증을 진정시키는 성질이 있어 옆구리 통증, 허리 통증, 두통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궁궁이 뿌리가 배합되어야 한다. 하루 복용량은 6~12g 정도이다. 

어떤 작용인지 모르겟으나 선조들은 나무가 힘을 잃어 고사 위기에 처하면 천궁을 푹 삶아서 그물을 나무에 주었다고 한다

그러면 그 이듬해 죽어가던 나무가 힘을 얻어 소생한다고 한다 올해는 나도 한번 시험해 보고자 한다


 
▣ 활용법
  4월 상순이나 중순경에 갓 자라나는 어린 잎을 뜯어 모아 나물로 무쳐 먹으며 국거리로도 좋은데 가볍게 데쳐서 잠시 우려낸 뒤에 조리하면 된다.
독특한 향미가 있고 씹히는 맛이 좋아 먹을 만하다. 이렇게 향기 좋고 먹을 만한 것이면 굳이 데치고 무치고 할 필요없이 그냥 생깊 그대로 양념에 살짝 찍어 먹어도 좋다.
 
▣ 주의사항 및 활용예
  ◈  뛰어난 세균 억제 작용
궁궁이가 약리 실험에서 혈압 강하, 자궁수축, 세균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 
 
임신이 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방법은 궁궁이 좋은 것 40g, 당귀 큰 것 40g 짜리를 골라 28g만 쓴다. 가루내어 2등분 한후 한 몫을 쑥을 진하게 끓인 물이나, 술에 타서 먹고 4 ∼ 6 시간이 지난 후 몇 번 반복되어 배꼽 아래가 꿈틀 거리는 것이 느껴지면 임신이 된 것이다.
아리송하니 잘 모르겠으면 다시 잇꽃 끓인 물에 타 먹으면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산후에 피가 부족해져서 오는 두통과 어지럼증이 있을 때 쌀 씻은 물에 담그었다가 말린 것 4-8g을 물 200㎖에 달여서 하루 3번에 나누어 끼니 사이에 먹는다. 궁궁이와 당귀를 각각 18g을 섞어서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특히 산후에 피가 부족해져서 오는 두통과 현훈에 쓴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