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사평위산 이럴때 사용한다
1. 상복부가 꽉 차있는 느낌이다.
(완복창만)
2. 식욕이 없다
(불사음식)
3. 구역질이 나고 토하기도 한다.
(구토오심)
4. 신트림이 자꾸난다.
(애기탄산)
5. 사지가 무겁다.
(지체침중)
6. 몸이 나른하여 눕고만 싶다.
(태타기와)
이상은 비위습체증의 증상이다.
복약지도.
효능효과
1) 비장의 운화기능인 승청강탁을 잘되게 하여 습을 제거한다. (운비제습)
2) 정체된 기의 소통과 연동운동을 원활히 하여 숙식을 제거하고 소화기능을 향상시켜 구토를 멈추게 한다.
(행기, 건비, 지구)
주성분
창출 2.0 진피 1.5 후박 1.5 향부자 1.33 사인(축사) 0.67
대출 1.0 생각 1.0 곽향 0.33 감초 0.5
복용법
1) 1일 3회, 1회 1포(3-5g)씩 식간에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성인기준/ 체중과 증상을 고려하여 증감)
2) 덕용포장(300g, 500g)의 경우 약포지를 이용하여 개봉판매가 가능하다. (약사법 39조 3항)
주의
몸이 차고 허약해 보이는 사람에게서의 소화불량은 많은 경우 한에 의한 윚아관 운동저하가 원인일 경우가 많기에 향사평위산 보다는 인중산을 고려한다.
참고
숙식에 기본인 평위산에 향부자와 사인이 합쳐진 처방으로 신경성 소화불량에도 탁월하다.
출전
화제국방
----------------------------------
■평위산■
사물탕 +황기건중탕
주로 실증에 많이 쓴다.
※스트레스 받아서 소화 안되는 사람은 향사평위산을 쓴다.
재료1:
창출 8g, 진피 5.6g, 후박 4g, 감초 2.4g,
생강 3쪽, 대추 2개
효능1:
비위(脾胃)에 습사(濕邪)가 울체(鬱滯)되어 음식을 먹고 싶은 생각이 없으며 온 몸이 무겁고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면서 헛배가 부르고 때 로 구역질을 하며 트림이 나거나 신물이 올라오는 데 쓴다.
*울체-기혈(氣血)이나 수습(水濕) 등이 퍼지지 못하고 한 곳에 몰려서
머물러 있는 것을 말함.
재료2:
창출 6g, 후박 4g, 진피 4g, 백출 4g, 황련 2.8g,
지실 2.8g, 초과 2.4g, 신국 2g, 산사 2g, 건강 2g,
목향 2g, 감초 2g, 생강 3쪽
효능2:
체기를 받아 속이 트적지근하면서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 되며
때로 배가 아프고 신트림이 나며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는 증상에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