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참나무의 겨울눈
참나무. 일명 꿀밤나무라고도 부르는 기본적인 수종 6가지의 구분해 본다.
그러나 넓은 의미의 참나무때는 상록성이며 남쪽지방에서 자주 자라는 가시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들도 도토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도토리란 이름이 더 친숙하다.
먼저 밤나무처럼 잎이 날렵하고 길쭉하게 생긴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가 있다.
다음은 잎이 둥그스럼하고 비교적 큰 신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이렇게 4가지가 있다.
이 녀석들은 종 간에 교배가 잘 되어 변이종이 많다.

신갈나무(참나무과) Quercus mongolica
신갈나무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흔히 만날 수 있는 나무입니다. 온대낙엽수림대에 속하는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나무가 바로 신갈나무로 산의 중턱 이상에서 가장 많이 자라는 나무입니다. 옛날 나무꾼들이 커다란 잎을 짚신 바닥에 깔아 사용하면서 신갈나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신갈나무는 나무껍질이 회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집니다. 햇가지는 굵고 간혹 털이 있지만 곧 없어지며 회갈색~갈색을 띠고 광택이 있으며 껍질눈이 흩어져 납니다. 끝눈 근처에는 여러 개의 곁눈이 가까이 달립니다. 겨울눈은 달걀형이며 눈비늘조각은 연한 갈색~적갈색이며 털이 있습니다. 잎자국은 반달형~삼각형이며 관다발자국은 많고 불규칙하게 배열합니다.
** 참나무 종류의 구분
신갈나무처럼 도토리 열매를 맺는 나무를 흔히 참나무라고 하는데 참나무에는 신갈나무를 비롯해 떡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있습니다. 낙엽수는 가을이 되면 잎자루와 가지 사이에 떨켜가 생겨 낙엽이 집니다. 하지만 신갈나무를 비롯한 참나무 종류는 떨켜가 제대로 발달하지 않기 때문에 겨울에도 마른 잎을 그대로 달고 있는 나무가 많습니다. 마른 잎을 달고 있는 참나무 종류를 겨울에 만났을 때 구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떡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 겨울눈으로 구분하기
1.떡갈나무- 끝눈 곁에 곁눈이 모여 달린다. 어린 가지는 골이 지며 털이 있다.
2.갈참나무- 끝눈 곁에 곁눈이 모여 달린다. 어린 가지에 골이 지며 털이 없다.
3.졸참나무- 끝눈 곁에 곁눈이 모여 달린다. 어린 가지는 밋밋하고 가늘며
눈비늘조각에 털이 있다.
4.신갈나무- 끝눈 곁에 곁눈이 모여 달린다. 어린 가지는 밋밋하고 굵으며
눈비늘조각에 털이 없다.
5.상수리나무- 끝눈 밑에 곁눈이 달린다.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6.굴참나무- 끝눈 밑에 곁눈이 달린다. 어린 가지에 털이 없다.
(나무껍질이 두꺼운 콜크질이다.)
** 밤나무의 구분
같은 참나무과에 속하는 밤나무도 산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데 잎 모양이 상수리나무나 굴참나무와 비슷해서 혼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밤나무는 어린 가지가 짙은 적갈색이며 끝눈 주위에 곁눈이 달라지 않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낙엽은 굴참나무나 상수리나무와 비슷하지만 가시로 덮인 밤송이 껍질이 나무 밑에 많이 떨어져 있는 것으로도 구분할 수 있습니다.
겨울눈 낙엽과 밤송이 껍질 나무껍질
지금까지 주변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참나무 종류와 밤나무를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주변의 야산에서 참나무 종류를 구분하다 보면 6가지 경우에 맞지 않는 나무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참나무 종류 간에 잡종이 만들어져 함께 자라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