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피
오가피는 오갈피라고도 불리는 식물로 학명은 아칸토파낙스이다.즉라는 가시가 있는 나무이고 는 만병을 치료한다는 뜻이므로 만병을 치료하는 가시가 있는 나무이다 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오가피는 뛰어난 약효를 갖고 있어 제2의 인삼으로 불린다. 우리나라 야생 식물가운데는 신비한 약리효과를
발휘하는 것들이 많은데 그 중 초본식물의 표가 인삼이라면, 목본식물의 대표가 오가피이다.
잎이 산삼, 인삼과 구분이 잘되지 않을 정도로 비슷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 오래 전부터 귀중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본초강목과 동의보감에 따르면 오가피는 성인병과 현대 병의 예방과 치료는 물론 항염, 피로, 항스트레스,
중추신경흥분 대사촉진 근육강화 해독작용 등에 효력을 발휘한다. 전세계적으로 오가피 약효에 대해선 많은
연구가 이뤄졌다.
특히 러시아에선 가장 풍부한 연구실적을 갖고 있으며 40여년 전부터 강장제로 사용하면서‘시베리아의 인
삼’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독일의 노벨상 수상자인 와그너 박사 연구에 의하면 한국산 오가피가 중국산의 6
배, 소련산의 4배나 더 강하다고 한다.
한방서적에 확인된 오가피의 효과
동의보감 : 따뜻하고 맛이 맵고 쓰며 독이 없고 오로와 칠상을 보호해 주며 익기하고 견근골하며 강지의하며
남자의 음위와 여자의 음양 치료하니 허리와 척통 및 양다리의 통비에 골절의 연급위벽을 낫게 하고 어린이
가3세에도 걷지 못하는데 이것을 먹으면 바로 걸어 다닌다.
본초강목: 오가피를 일컬어 ‘심장, 복부, 아랫배에 통증이 있는 것, 신체의 기를 높여주고 발을 절 떄, 세 살
된 아이가 걷지 못한 때, 종기와 부스럼 등의 피부병, 발기부전증, 몸이 허약해지고 수척해지는 것, 허리와 척
추가 쑤시는 통증 등에 효과가 있다.
동의학 사전 :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간경, 신경에 작용한다. 풍습을 없애고 기를 돋우며 정수를
부려준다. 또한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한다.
오가피는 인삼과에 속하는 약용식물이며, 가시가 촘촘히 달려 있어 가시오가피라 불리운다. 구소련 우주 비
행사나 국가대표 선수들이 강한 체력을 위하여 복용하여 유명하다. 허준의 동의보감에 보면, 허약한 몸과 관
절, 뼈를 튼튼하게 해주면, 남자의 기력을 높여 주는데 유용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청소년기에 키가 큰다.
주요 성분의 효능
복용후의 자각증세
상승효과가 뚜렷한 질환
Acanthoside B, D
강장, 낭질, 지방대사
알코올해독, 식욕증진, 혈액순환보온, 몸이 가뿐하고 변비개선
지방간, 비만증, 피부미용, 동맥경화, 중풍, 신경통
Acanthoside A, C
골수조합, 백혈구증가
알러지성 질환개선, 암세포의 전이가 중지됨, 암치료 후 빠른 회복
알러지성 비염, 무좀, 습진, 검버섯, 항암효과, 마취제, 항암제, 방사선의 독성
Syringin
강장 정력 양생효과, 시력, 청력, 감응도 증가
회춘, 노화방지
Eleutheroside B,F,I, K,L,M
인식능력강화, 근육의 젓산축적감소
무기력증 해소, 숙면.작업능력 회복, 피로회복, 스테미너 증강
수험생, 노약자, 운동선수의 순발력, 집중력, 지구력, 기억력, 불면증, 정서불안, 긴장초조, 노이로제 해소, 정
신력 활력, 헤모글로빈 수의 정상회복
4-methoxsahey Aldehyde
호흡, 맥박, 혈압 등의 정상화로 심장통증, 흉통이 완화되고 나아가 없어짐.
당뇨병, 고혈압, 저혈암, 혈중 콜레스테롤, 심장맥관계 질환, 류마티스성 심장질환 Chisanoside항염,
염증제거
소염작용으로 진통효과
감기, 비염, 축농증, 기관지 인후염, 위궤양, 냉대하증, 어혈, 골절
본초강목에서 말하는 오가피
한줌의 오가피를 얻으니 한 수레의 금옥보다 낫다.
본초강목은 중국 명나라 시대의 명의인 이시진이 저술한 한방의약서로 오늘날 중국은 물론 한국, 일본, 미국
등 세계 각국에 한방학 지침서로 이용되고 있다.
- 심장, 복부, 아랫배에 통증이 있을 때
- 신체의 기를 높여주고 발을 절 때
- 아이가 태어나서 3세가 되어도 허약하여 잘 걷지 못할 때
- 종기와 부스럼 등 피부병
- 임포턴스 기가 허하여 부실할 때
- 낭습 밑에 축축하게 습기가 생기는 증세
- 오줌을 눌 때 시원하게 못 누고 찔끔거리며 누고 나도 덜 눈 것같이 여겨지는 병
- 여인의 생식기 주변과 생식기가 가렵고 지저분하여 냉이 생기거나 심한 상태
- 허리와 척추가 쑤시는 통증
- 두 다리가 아프고 쑤시며 통풍이 오고 오그라들 때
- 위를 보해주고 정력을 좋게 해 준다.
-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해 준다.
- 정신을 맑게 하며 의지력을 높게 함.
- 오래 장복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는 것을 방지해 줌
- 몸 안의 나쁜 피를 맑고 깨끗이 다스려 준다.
- 손과 팔, 발과 다리를 합쳐 사지를 마음대로 못 움직일 때
- 풍이 걸려 신체를 마음대로 못쓸 때
- 허리가 아프며 양다리에 힘이 없고 약하며 아플 때
- 사고 또는 여러 원인으로 다쳤거나 상해서 생긴 몸 안의 어혈이 오래되어 피부와 살, 그리고 여러 곳에 남아
있어 시도 때도 없이 아플 때
- 신체가 저리고 습하여 괴로울 때 치료해 줌
- 눈이 침침한 것을 맑게 해 주고 기가 위로 올라가 괴로울 대 기를 아래로 내리게 한다.
- 중품을 다스리고 골절되어 아픈 것을 치료하며 손발이 비틀리는 데 쓰임
- 오로와 칠상을 치료한다.
- 술을 많이 먹거나 숙취한데 쓰임
- 풍을 맞아 사지가 뒤틀리고 마비되어 거동이 불편할 때 치료해줌.
먹는 방법
노인들의 신경통 .변형성 관절염에는
오가피 .두충 각 같은 양을 부드럽게 가루내어 술로 쑨 풀에 반죽하여 0.3g 알약으로 만들어 하루 세번
식후 15 ∼ 30알씩 먹는다.
어른들의 각기 .남자의 음위(발기불능) .여자의 음부소양증(가려움) .방사선병 예방 .치료에는
하루 6 ∼ 9g을 달임약 .가루약 .약술 형태로 먹는다.
어린이의 칼슘 결핍에 의한 발육부진 .신체연약 .무력증상이나 세 살이 지나도록 걷지 못할 때
오가피. 쇠무릎풀. 모과를 5 : 3 : 3 비율로 섞어 가루내어 한 번에 1g씩 미음에 타서 하루 세 번 먹는다.
소아 척수마비 후유증
오가피를 가루내어 1회에 6 ∼ 8g식 하루 3번 먹인다.
소아 발육 부전증
가루낸 오가피를 1 ∼ 1.5g씩 하루 3번 먹는다.
허리와 등뼈가 아플때
오가피를 술에 담가 우려낸 물을 마신다.
당뇨병
가시오가피 잔가지 또는 뿌리껍질 6 ~ 8g을 1회분으로하여 달여서 하루 1 ~ 2회씩 장복한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오가피 12 ~ 24g을 물 200ml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심장에 이상이 생겼을때
인삼만큼 효과가 있는 가시오갈피를 달여 하루에 15g씩 먹는다.
동의보감을 응용한 민간요법에서 인삼만큼 좋다고 알려진 것이 바로 가시오갈피이다.
가시오갈피 줄기의 껍질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줄일 뿐 아니라, 면역 능력을 강화해, 심장병, 동맥경화증에 아주 좋다. 협심증이나 심근
경색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아픈 사람들은 가시오갈피를 하루에 15g씩 끓여 마시면 차도가 있을 것이다.
몸이 나른할 때 뿌리를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2~3g씩 하루 2~3번 물에 타서 먹는다.
몸이 허약한 데, 앓고 난 뒤에 보약으로 쓰이며 빈혈, 저혈압, 신경쇠약, 정신 및 육체적 피로 등으로 몸이 나
른할 때 오랫동안 먹으면 효과가 있다.
어지럼증
5-15g을 물에 달여서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오가피 정신적 및 육체적 피로를 회복시키며 특히 몸이 약하여 기운이 없을때, 저혈압으로 어지럽고 가슴이
두근거릴 때 먹는다.
오가피를 진하게 달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감주를 만들어 두고 먹으면 과로나 육체노동으로 생긴 병에 크게
효과를 볼 수 있다.
오가피, 엄나무 뿌리, 인동덩굴, 백출을 4:2:2:2의 비율로 넣고 달여 먹으면 중풍으로 마비된데, 양기부족, 관
절염, 신경통 등에 매우 신효하다.
여름, 가을철에 채취하여 뿌리껍질을 벗겨서 햇볕에 말려두고 씁니다. |
오가피와 가시오가피
오가피는 오가피나무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n 및 동속식물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관목식물의 뿌리, 줄기 및 가지의 껍질로서 이명은 남오가피라고도 한다, 북반구 극동아시아에만 분포하며 남한에는 멸종 위기에 있는 야생보호식물이다.
〔기원〕: 중약대사전- 오가과식물로서 五加 Acanthopanax gracilistryus w.w smith
혹은 무경(無梗)오가, Acanthopanax sessiliflorum (Rupr. et maxin)Seemann
刺오가, Acanthopanax senticosus(Rupr. et maxin)
조엽(糙葉)오가, 윤솔(輪轍)오가
등의 근피가 사용 소수의 지역에서 오가피로서 사용되는 동속식물은
홍모오가의 잎으로 사천에서 사용되고 백협의 근피가 서남지역에서
민간약으로 사용되며 향오가(박주가리과) 독오가의 근피가 티벳에서
난오가는 협서 등에서 사용된다.
한약임상응용 - 1)남오가피는 오가과(Araliaceae)細桂오가 Acanthopanax gracilistryus w.w smith의 근피를
건조한것, 광동에서는 오가과(Araliaceae) 홍모오가Acanthopanax giraldii Harms의 근피를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2)북오가피는 蘿摩( Ascleepiadaceae) 楨柳(정류) Periplcca sepium bunge의 근피를 건조한 것(정류피라고도 한다). -유독하고, 强心利尿작용이 있는데, 고다복용하면 심한血壓上升으로 致死한다. 남오가피를사용하는 것이 좋다.
〔종명〕五加 Acanthopanax gracilistryus w.w smith - - - - - - - -- -- --- 優
무경(無梗)오가, Acanthopanax sessiliflorum (Rupr. et maxin)Seemann- - - -優
刺오가, Acanthopanax senticosus(Rupr. et maxin)------- - - - - -- - - 良
조엽(糙葉)오가 Acanthopanax henryi(Oliv,) Harms ----------------------良
홍모(紅毛)오가 Acanthopanax giraldii Harms -----------------------劣
기타: 중화인민공화국 약전에는 (Acanthopanax gracilistryus w.w smith) 라는 학명으로 1985년판 1부에 국가법정약품으로 수재되어 있으며 대한약전에도 오갈피나무과 (Araliaceae)의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n이라고 하여 오가피의 약리작용을 강장작용과 강심작용으로 수록했다. 오가피의 근피가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시장에서는 향가피 또는 북오가피라는 이름으로 박주가리과 식물의 근피가 판매되며 그 성상은 오가피와 다르고 역겨운 향기가 있어 구별할 수 있다. 그밖에도 참오가, 흰털오가, 중부오가, 황오가 삼주오가, 이주오갈피나무 등이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두릅나무과 종류는 약 20종이 있으며 오갈피나무 종류는 15종으로 밝혀져 있는데 대표적인 품종은 다음과 같다. 국내에서 자생 또는 식재하고 있는 오갈피속 식물은 십여가지 품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재배하는 농가나 소비자는 식물분류학적으로
일일이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어 분류할 수 없으므로 재배적인 면에서는 외형상 확실히 구별되는 4가지 품종으로 구분하는 것이 편리하다.
* 두상오갈피계통 - 단경오갈피나무, 지리산오갈피나무(Acanthopanax chiisanensis Nakai), 서울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oulense N), 털오갈피나무(Acanthopanax rufinerve Nakai.),
참오갈피나무
- 양지나 반음지에서도 잘자란다. 화기는 7-8월이며 숙기는 10월이다
* 가시오갈피계통 - 가시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왕가시오갈피나무(Acanthopanax asperatus Fr. et. Sav), 민가시오갈피나무, 개오갈피나무
* 섬오갈피계통 - 섬오갈피나무(Acanthopanax Koreanum Nakai)
* 당오갈피계통 - 당오갈피나무
採集: 夏,秋採挖 剝取根皮, 日麗乾 알-挖 우벼낼알
본초집성:경산대학교 본초학교수, 방제학교수
歸經 :肝,腎
·效能:1)袪風除濕:行痺, 着痺
2)强壯筋骨:筋骨攣急, 腰痛, 陽痿, 腰膝軟弱, 小兒行遲
3)活血袪瘀: 蹀打傷, 癰疽
4)利水消腫: 全身浮腫
《 오가피의 성분 및 효능 》
1)스테로이드와 그배당체
인체내 콜레스테롤의 배설을 촉진한다. 또 혈액중의 콜레스테록의 증가를 억제하여 고콜레스테롤화를 방지한다.
(예:베타지토스테롤 및 glucoside)
2) 세사민(I-sesamin)
기침을 멈추게 하고, 담을 없애며 기관지염을 예방하고 항결핵균소의 작용이 있고 특히 항산화작용(항노화작용)은
free lignan인 I-sesamin이 우수하다고 발표되어있다.
3)쿠마린(coumarin계 성분)
현저한 진정작용과 혈압강하작용이 있다.
4)시린진 (Syringin)
성선의 촉진, 정낭, 전립선의 중량을 증가시키며 거세된 동물의정낭과 전립선의 위축을 예방하는 작용이 있다.
또 항피로작용, 흥분작용은 인삼의 사포닌과 비슷하다.
5)쿠에루세틴
이 성분은 오가피의 잎에 함유되어 있으며 RUTIN과 같은 혈압강하작용이 있다.
6)포리사카라이드(다당부분), Eleutheran A~G
식균작용이 있으며 식균세포의 능력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그세포를 증식시키는 작용도있다. 또 뇌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것외에 혈당강하 활성작용, 비장중대, 항체합성의 촉진, 체약의 면역촉진 등의 작용이 인정되고 있다.
비타민의 종류: 가로틴, 비타민 B1, B2, C.
미네랄의 종류: 코발트 , 니켈 ,망간, 구리, 아연, 마그네슘, 철, 나트륨, 칼륨, 칼슘.
비타민이나 미네랄은 잎에 풍부하다.
오가피의 약리작용
1)Adaptogen
오가피는 인삼보다 월등한 적응원적 작용이 있다는 보도가 있다,
적응원(Adaptogen):생체의 비특이성 저항력을 증가시킨상태를 일컬는 말로써 이에 해당하는 약물의 특징은 다음3가지 점이 있다.
가,저항력 증강작용.
나, 정상화 촉진작용.
다. 부활작용
이밖에도 오가피에서 추출한 성분중 Acanthoside B의 약리작용을 보면 간장애로 인한 GOT, GPT의 비정상적인
상승을 빠른 속도로 정상치로 회복시키며 간 상해 동물에서의 BSP 저류를 정상화시키고,동물의 수명을 연장하며 생
체내 대사능력을 향상시킨다고 한다.
또한 북오가피의 성분인 4-methoxsalicyl Aldehyde, β-sitosterol 및 이것의 glucoside, periplogen glucoside의
경우 다른 오가피의 성분과는 달리 강심효과가 있어서 심장에 대한 작용이 strophanthin과 비슷하고 과량섭취시 특히 노쇠현상에 유효하여 강장약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오가피류에서 분리산lignam 화합물중 가장 높은 활성을 가지는 Acanthoside D도 있으며 Eleutheroside A~E 는 성선 작극효과가 있다.
특히 Eleutheroside B의 경우 여러 병리적 증상의 개선, 병후회복촉진, 대수술후의 처리 , 노동력의 개선, 신경
계 에 대한 제반효과 , 저혈압, 혈청 Cholesterol 감소 , 기능성신경질환, 류머치스성심질환 , 여러대사기능
의 조정 등 강장, 강정,진정약으로 적용된다.
가시오가피
異名: 五葉木, 五佳, 五花, 南五加皮, 五加, 白刺,
起源: 가시오갈피 Acanthopanax senticosus 또는 동속의 근피를 말린 것이다.
가시오갈피나무와 지리산오갈피나무가 기원식물
가시오갈피계통 - 가시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왕가시오갈피나무(Acanthopanax asperatus Fr. et. Sav), 민가시오갈피나무(=좀가시오갈피), 개오갈피나무.
이외에 털오갈피, 섬오갈피, 오가나무, 지리산오갈피, 중부오갈피 오갈피(오가피, 오가피나무), 개오갈피 ,
남부오갈피, 참오갈피, 흰털오갈피등14종류가 국내에서 자생하는 오가피류의 Origin이다.
품질: 가시오갈피의 뿌리껍질은 신선한 것이 좋고 약간에 방향이 있으며 피부가 미황갈색을 띠는 것이 양품.
수피는 근피와 약효가 다르다,
성분, 약리작용
가시오갈피는 최근 연구에서 면역부활다당과 혈당강하다당 즉 hetero 다당, eleutheran A~G를 단리하여 발표하였다. 특히 alkali 추출물에서 분리량 30,000의 헤테로키시린 AsⅢ가 활성물질로 보고되었다.
즉 가시오가피에서 단리된 면역부활다당, 혈당강하다당물질은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로 기대되며 일반오가피 옆에서 단리된 Chiisanoside의 항암작용도 더 연구를 할 가치가 있다.
1) Acanthoside A, C
골수조혈. 백혈구 증가로 면역 및 저항력 향상에 도움 된다. 알러지성 질환 개선, 암세포의 전이가 둔화, 암치료 후 빠른 회복.
2) Acanthoside B, D
강장, 당질, 지방대사에 효과가 있어, 알콜 해독, 식욕 증진, 혈액순환, 몸이 따듯해지며, 변비 개선에 도움.
3) Syringin 시린진
강정 효과가 있어, 정력 양생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시력 및 청각 반응도 개선에 도움을 준다.
4) Eleutheroside
인식능력강화, 근육의 젖산 축적 감소에 도움. 무기력증 해소, 충분한 숙면 효과로 작업능력회복, 피로 회복, 스테미너증강에 도움이 된다.
B, E, I, K, L, M
5) 4-methoxsalicyl Aldehyde
생체기능 정상화로 호흡, 맥박, 혈압 등의 정상화로 심장통증, 흉통이 완화됨
6) Chiisanoside
항염 효과 및 염증제거에 도움된다. 소염 작용으로 진통 억제 효과가 있음.
性味 : 辛, 苦, 微溫
歸經 : 肝, 腎, 肺
採集: 9~10月間採挖 剝取根皮, 日麗乾
20여년전 구 소련의 "과학아카데미"에서 충격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하여 세상을 놀라게 하였다. 오갈피 중에서도 가시오갈피의 껍질과 열매가 그 효능면에서 어떤 약제보다 매우 탁월한 약용 식물이라는 것이다. 그 발표에 의하면 에레우테로사이드라는 7가지 배당체에 유효성분의 약리적인 효과는 9가지에 이른다고 보고하고 있다.
1. 면역기능의 증강
2. 호르몬계 기능의 조절과 촉진
3. 물질대사의 기능 항진
4. 심혈관, 중추신경계 질환 개선
5. 신진대사 기능의 조절
6. 질병에 대한 저항력 증강.
7. 정신안정, 깊은수면, 식욕증진, 강장작용
8. 백혈구 감소증의 개선
9. 고혈압, 관상동맥경화증의 개선
가시오가피와 오가피
가시오가피와 오가피(오갈피)를 구분하는데 쓰이는 주요성분은 진정 작용이 있다는 이소프락시딘이라는 성분으로 가시오가피에만 검증할 수 있는 양이 있다. 또한, 각각의 성분들도 함량에 있어 많은 차이가 있으며, 대표적인 성분중 하나인 에레우테로사이드 E의 함량을 분석한 최근의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구 분 |
가시오가피 |
일반오가피 |
학 명 |
Acanthopanax senticosus |
Acanthopanax |
생태의 특징 |
1.덕유산을 남방한계로 고지대의 북향계곡, 그늘지고 음습한 곳 2.씨앗 발아율과 삽목 성공이 10%미만 |
1.전국이 재배가능, 양지바른 사질 양토 2.씨앗 발아율과 삽목 성공이 50%이상 |
분포 및 각국의 명칭 |
1.한국(가시오갈피) 2.러시아(시베리아 진생) 3.중국(자오가) 4.일본(에조우고기) |
1.한국(오가피) 2.러시아(X) 3.중국(오가) 4.일본(우고기) |
이용과 실태 |
1.러시아(주사약,캡슐,엑기스,술) 2.중국(주사약,캡슐,엑기스,술,한약재) 3.일본(캡슐,과립,엑기스,청,술) 4.한국(엑기스,술,한약재) |
1.중국(한약재) 2.일본(술) 3.한국(술,엑기스,한약재) |
각국의 정부정책 |
1.러시아(국가보호수) 2.중국(국가보호수,흑룡강성에서만 생산가능) 3.한국(환경부 지정 야생보호식물로 생산시 환경부 허가) |
해당사항 없음 |
일반적인 생김새 |
(가시의 형태) 바늘같은 잔 가시가 촘촘히 나았다. |
장미나 찔레같이 굵은 가시가 드문드문 나있다. |
채취시기 |
9~10月間採挖 剝取根皮, 日麗乾 |
夏,秋採挖 剝取根皮, 日麗乾 |
작 형 |
파종기 |
수확기 |
출하기 |
성출하기 |
노지재배 |
4월 중, 하순 |
식재3년후 9월하순~10월중순 |
11월상순~4월 하순 |
12월 상순~2월 하순 |
오가피 기원식물
자오가 (가시오갈피) - 우리나라를 비룻한 동북 및 하북, 산서 지역에서 사용한다.
오렴매오가 - 중국 운남 지역에서는 오가피로 사용한다.
홍모오가 - 중국 사천 지역에서는 줄리껍질을 오가피로 사용한다.
모경홍모오가 - 중국 사천 지역에서는 줄기껍질을 오가피로 사용한다.
세주오가 - 중국 남부의 각 성에서 사용한다.
단모오가 - 중국 사천 지역에서 사용한다.
조엽오가 - 중국 산서, 엽서, 사천, 호북 등지에서 뿌리를 오가피로 사용한다.
강정오가 - 중국 서장 지역에서 사용한다.
무경오가 (오갈피) -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 지역에서 사용한다.
수모오수유오가 - 중국 서장 지역에서는 뿌리껍질을 오가피로 사용한다.
조엽등오가 - 중국 호남, 광동. 광서, 사천지역에서 줄기껍질이나 혹은 뿌리를 약용한다.
등오가 - 중국 감숙, 현서, 사천, 등지에서 사용한다.
단병오가 - 중국 협서 지역에서는 안신약 으로 사용한다.
촉오가 - 중국 사천 지역에서 사용한다.
강모오가 - 중국 사천 지역에서 민간약으로 사용한다.
백륵 - 중국 서남부 지역에서 사용한다.
강모백 - 대만에서 사용한다.
윤산오가 - 중국 서장 지역에서 사용한다.
강류 -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뿌리껍질을 오가피로 사용한다.
참고서적: 약용오가, 육창수 , 경원미디어
1995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 결과 농촌지도사업 활용자료 농촌진흥청
오가피 ,시베리아 인삼 (Eleutherococcus senticosus )
오가피 (시베리아 인삼 )는 흔히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고 정신적 ,육체적 원기와 지구력을 향상시키는 순응원 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주장은 주로 러시아 과학자들에 의한 동물실험과 초기의 임상시험에 기초한 것이다 .그러나 더 최근의 잘 설계된임상시험에서는 오가피가 지구력을 향상시키지 못했다 .일부 연구에서 오가피 (시베리아 인삼 )가 백혈구 활성을 향상시키고 콜레스테롤과 혈당을 줄이고 기억을 향상시키며 대상포진감염환자에게 이로움을 줄 수도 있다고 시사하고 있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확인이 필요하며 ,오가피 (시베리아 인삼 )의 효과는 그 어느 용도로도 의심의 여지 없이 확립된 것은 없다 .자료가 제한적이긴 하지만 ,오가피 (시베리아 인삼 )는 제대로 확증된 부작용이 없이 안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