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나비걸상버섯
지난 주말을 이용해 1박2일 일정으로 강원도 산골로 약초산행을 배우러 다녀왔습니다.
첫날은 개다래,야생 오미자,마가열매,잔나비걸상(덕다리)버섯,말굽버섯,산당귀,느타리버섯 머 이렇게
조금 취하여 오지 산골짜기에 자리한 산생활하는 지인의 오두막에 어렵게 부탁해서 일박을 하였답니다.
물론 전기도 수도도 들어오지않는곳이다보니 장작불로 아궁이에 불을 지펴 잠을 자고 ㅎㅎㅎ
이것이 잔나비걸상버섯 혹은 불로초 매기생이라고 하는것이랍니다.
중국 진시황제가 동방의 불로초를 보고 찬사를 보낸 버섯이 바로 불로초 매기생(잔나비걸상버섯)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산삼,녹용,매기생을 3대상약으로 부르기도 한답니다.
대물이지요 ㅎㅎㅎ
이렇게 약초 산행 첫날밤을 오두막에서 지새고
둘째날은 산당귀,느타리버섯,겨우살이,노루궁뎅이 버섯을 배우고 집에 귀가하자 놀토에 단풍인파까지 겹쳐 12시가 다
되었더군요
수확물을 거실에 펴놓고 다솔이 다운이에게 설명해준 다음 하나씩 모두 씻어 손질해 광주리에 늘어놓으니 약재상이 따로 없는 풍경이 ㅎㅎㅎ
잔나비걸상은 생약명으로 수설(樹舌)이라고 하는데 나무에서 혓바닥을 내민 형상처럼 생겼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갓은 너비 5~50센티미터, 두께는 5~15센티미터로 매년 성장하여 60센티미터에 달하는 것도 있으며 반원형 또는 말굽형도 있다.
갓 표면은 각피로 덮여있고, 평활하나 환문과 방사상의 주름이 있고 회갈색에서 회백색이며 종종 적갈색의 포자에 덮여 있다.
갓 둘레는 생자하는 동안에는 백색이고 성숙하면 회갈색이 된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생목이나 고목 위에 단생 또는 중생하는 버섯이다.
맛은 약간 쓰고 평하다.
청열, 소적, 화담, 지통의 효능이 있다.
항종양 억제율이 64,9%이며 암에 걸린 동물의 생명 연장에 사용되기도 한다.
지혈, 건위 작용을 하며 신경쇠약, 폐결핵, 심장병, 신장병, 중풍, 뇌졸중, B형간염을 치료한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식도암, 위암의 민간약으로 이용된다.
중국 <본초도감>에서는 잔나비걸상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수설(樹舌), 기원은 多孔菌科(구멍장이버섯과;Ployporaceae)진균인 樹舌(Ganoderma applanatum (Pers. ex Gray) Pat.)의 子實體이다. 형태는 다년생 子實體로 자루가 없고 側生한다.
갓은 半圓盤形 또는 완만한 산 언덕모양으로 5∼30 × 6∼50cm이고 두께는 2∼10cm이다.
殼皮는 반들반들하고 때때로 사마귀가 있으며, 心部와 같은 고리모양의 능선무늬가 있고, 항상 灰色을 나타내는데 점차 褐色으로 변한다.
菌管은 여러층으로 매 층의 길이는 3∼8mm이고 管孔面은 白色 내지 淡黃色이며 상처가 나면 즉시 暗褐色으로 변한다. 管孔面은 圓形이다.
胞子는 卵形이고 褐色이며 截頭가 있고, 두층의 벽이 있는데 내벽에 작은 사마귀가 있다.
분포는 해발 1,000m이상 활엽수 나무 몸통 위 및 몸통 기부에서 자란다.
채취시기는 여름과 가을철에 따서 절편한 후 햇볕에 말린다.
성분은 ergosterol, isoergosterol 및 多糖類가 들어 있다.
맛은 약간 쓰고 평하다.
효능은 청열, 소적, 화담, 지통, 항암에 작용한다.
주된 치료는 B형간염, 식도암, 신경쇠약, 폐결핵을 치료한다.
사용량은 15~3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적응증
1)강장보호(腔腸保護)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 해서도 복용한다. 산약(산마가루)을 6~8g씩 섞어서 복용하면 효험이 더하고, 냉 기운을 예방해주는 효과가 있다.
2)고혈압(高血壓)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수에 우려내서 그물을 1일 2~3회식 10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 해서도 복용한다. 산마와 함께 복용하면 냉한 기운을 없애준다고 알려져 오고 있다.
3)기관지염(氣管支炎)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수에 담가 우려낸 물을 10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4)당뇨(糖尿)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개월 정도 복용하면서 반드시 산마가루를 섞어서 복용하도록 한다.
5)동맥경화(動脈硬化)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2~3일 생수에 우려내어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그 물을 공복에 복용한다.
6)무좀(한포성백선:汗疱性白癬)
버섯을 물에 진하게 우려내서 그물에 4~5회 환부를 담근다.
7)불면증(不眠症)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물에 우려내어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8)신경쇠약(神經衰弱)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그 물 을 복용한다.
9)어혈(瘀血)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수에 우려내어 그 물을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10)염증(炎症)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회 복용하면서 그 물로 3~4회 환부를 닦아준다.
11)진정(鎭靜)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수에 우려내어 그 물을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단, 장복할 경우 영지는 냉하기 때문에 마(산약)가루를 넣어서 복용하는 것이 좋다.
12)진해(鎭咳)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산마(산약)를 같이 복용하면 효험이 더 좋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13)출혈(出血)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일반적인 음용법: 달이는방법 (10일분량만들기)
1) 불로초매기생 70g을 흐르는 물에 씻은다음 2-3cm로 잘게 썬다.
2) 유리제품 용기에 생수 2000cc를 부어 센불로 끊인다.
3) 끓기 시작하면 은근한 불로 낮추어 물의 양이 반이 되도록 달인다.
4) 달인물은 다른 용기에 옮기고 생수 2000cc를 부어 달인다.
5) 같은 방법으로 5회반복하여 달인다.(총용량 5000~6000cc)
6) 달인물은 혼합하여 충분히 식힌다음 유리병에 넣어 냉장보관후 하루 5회 복용한다.
7) 6-8회차 달인물은 평상시 보리차처럼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