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초우리

당귀

자연인206 2008. 10. 11. 23:30
반응형
SMALL

 지난 토요일 채취해온 당귀입니다.

 

작고 어린 당귀는 남겨두고 큰놈만 가져오다보니 양이 얼마되지는 않지만 약재로 쓸때 소량으로 이용한다고 하니 아쉬움은 없습니다.

 

다만 참당귀와 개당귀는 형상이 서로 비슷하여 자칫하면 미량으로도 단시간에 목숨을 잃을 수 있는 독초로 알려진 개당귀를 잘 구분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사전에 알지못하였다는 것이 섬뜩하였습니다.

 

 

이번에 채취한 당귀는 잘말려서 일부는 술을 담고 일부는 물에 끓여서 차로 마셔볼 계획입니다.

 

1. 당귀란?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두해 또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특이한 냄새를 풍기며, 전국 생산량의 30%가 봉화에서 생산됨.뿌리를 약재로 쓰고 한약조제시 반드시 들어가는 약재중의 하나이며, 어린뿌리나 연한잎은 반찬으로 이용한다.

다른 이름은 단귀풀,승암초,건귀,백근,문무,목귀초,당적,참당귀,승검초,당구,신감채,신감초,숭엄초불휘,승검초불휘로도 불린다.

2. 당귀의 효능 및 영양분석
효능(약리작용)
- 보혈제, 진정, 진통, 항균 항산화작용,치매예방및 기억력 향상,노화방지에 효과가 좋아 수험생이나 노약자

   및 여성에게 권장
- 두통,복통, 관절통, 변비, 이질,빈혈, 기관지염,천식,고혈압,뇌혈관질환,비염,신경쇠약,신체허약에 효과
- 생리불순,유산예방,부인병 예방 및 치료에 명약
(자궁기능 조절작용, 월경불순치료, 출산전후 체력보강, 여성의 두통치료)


단,몸이 무겁고 배에 가스가 많이 차면서 대변이 묽은 경우, 위장이 약해 소화가 잘 되지 않거나 감기로 열이 오르고 오한이 있는 경우에는 먹지않는것이 좋다.


당귀탕
1. 재료
당귀뿌리60g, 중닭1마리, 찹쌀250g, 대추3개, 밤5개, 마늘1통, 소금1큰술, 생강10g, 후추약간
2. 만드는 법
① 손질된 닭의 뱃속에 찹쌀, 마늘을 채워 넣고 무명실로 배를 꿰맨 다음 닭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붓고 당귀뿌리, 대추, 밤, 생강을 넣고 끓인다.
② 거품이 떠오르면 걷어내고 푹 익으면 소금과 후춧가루를 곁들여 낸다.
- 당귀미 : 당귀뿌리의 끝부분을 「당귀미」라고 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어혈(죽은 피)을 몰아냄으로써 생리통으로 인한 요통에 효과가 좋다. 용량은 한번에 5∼20g 으로 달여먹는다.

*,부인병에 좋은 약차
1,당귀차
효능 및 특성
당귀는 미나리과의 다년초로서 여성을 위한 약초라고 할 만큼 각종 부인병에 효과적이다. 당귀 삶은 물은 예로부터 여성의 피부를 희게하는 약재로 유명하며, 당귀차는 향과 맛이 일품이어서 접대용으로도 매우 좋다.
부인의 냉증, 혈색 불량. 산전·산후의 회복, 월경 불순, 자궁 발육 부진에 좋으며, 오랫동안 복용하면 손발이 찬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재 료
당귀 10g, 물 300∼500㎖

-만드는법
증상이 심할 경우 물의 양을 줄여 끓인다.
먼저 당귀를 물에 씻어 물기를 뺀 후 차관에 담고 물을 부어 끓인다.
끓기 시작하면 불을 약하게 줄이고 은근히 오랫동안 달인다.
건더기는 체로 걸러 내고 국물만 따라 내어 꿀이나 설탕을 타서 마신다. 생강을 첨가하여 달이면 더욱 좋다.

-주의할 점
설사할때는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2,당귀천궁차
효능 및 특성
당귀에 대한 내용은 당귀차 부분에서 밝혔듯이 부인병의 특효약이다. 여기에 보혈 작용를 가진 천궁은 그 효과를 더욱 높여 준다.
피를 늘리고 어혈을 풀어 주며 각종 부인병을 치료한다. 또한 자양 강장 작용이 있어 원기를 회복시킨다.

재 료
당귀 20g, 천궁 12g, 물 600㎖, 꿀 약간

만드는법
당귀와 천궁은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뺀다.
차관에 재료와 물을 넣고 끓인다,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인 후 은근하게 달인다.
건더기는 체로 걸러 내고 국물만 찻잔에 따라 꿀이나 설탕을 넣어 마시거나 차게 식혀서 마신다.

3,당귀금강차
효능 및 특성
당귀금강차는 부인을 위한 약차이다.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각종 부인병, 산후병에 특히 효과적이다. 평소 즐겨 마시면 몸과 마음이 가벼워지고, 향기가 좋아 손님 접대용으로도 좋다.혈액 순환 장애, 산후풍, 구갈, 부종에 특히 효과가 뛰어나다.

재 료
당귀 30g, 대추 20g, 생강 20g, 금강초 20g, 꿀 약간, 황기 또는 인삼 20g, 물 600∼1000㎖

만드는법
각 재료는 썰어 말린 것을 구입하거나 썰어 사용한다.
차관에 각 재료를 넣은 후 물을 끓인다,
물이 끓으면 불을 줄이고 약한 불로 은근하게 오랫동안 달인다.
건더기는 체로 걸러 내고 국물만 찻잔에 따라 꿀을 타서 마신다.

동의보감에서 "당귀는 모든 풍병,혈병,허로를 낫게 하며 궂은 피를 헤치고 새피를 생겨나게 한다.오장을 보하며 살이 살아나게 한다. 어혈을 헤치려 할 때는 머리 부분의 단단한 것을 쓰고 통증을 멎게 하거나출혈을 멈추려고 할때는 잔뿌리를 쓰며 전체를 쓰면 한편으로 피를 헤치고 한편으로 피를 멈추므로 화혈작용 즉 피를 고르게 한다"라고 해 부위에 따른 약효를 구분해 설명하고 있다.

 

 

참당귀

 
좌측 큰잎새는 참당귀  우측의 개당귀는 작은잎새(잎새가 길쭉하고 작으면서 좁다)
 

 
한곳에 개당귀와 참당귀가 있어 구별하기 쉬운거 같아 올림니다 .우측은 개당귀 좌측은 참당귀
참당귀 잎새는 향기가 좋으면서 맛도 향긋하고 달콤하지요 개당귀는 잎새부터 역한 냄새가 나지요
당귀잎새는 쌈으로 먹으면 향과 맛이 일품입니다
뿌리는 차로끓여 마시면 좋다
참당귀(當歸)산형과(傘形科 Apiaceae)에 속하는 숙근초(宿根草).숲속의 냇가에서 자라며 키는 1~2m이다. 잎은 어긋나는데 3개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서 갈라진 후 다시 2~3개로 갈라진다.
잎조각은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작은 겹톱니가 있다.
잎자루가 전체적으로 넓어져 줄기를 감싸고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짧다.
잎집은 타원형이 되고 잎몸[葉身]은 거의 없어진다.
자색의 꽃은 8~9월경 가지 끝에 큰 겹산형[複傘形]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1~2개의 큰 잎집 같은 총포(總苞)와 선형의 작은 총포가 있다.
당귀속(當歸屬)에 속하는 12종(種) 중 구리때 궁궁이 바디나물 등이 흔하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당귀라 하여 보혈제·진통제·진정제·건위제로 쓰이며 빈혈증·산후복통 등에 사용한다.
 

당귀와 같이 자라고 있는 누룩치

 

 

매년 문제를 일으키는 지리강활은 당귀와 비슷하기 보단 차라리 바디나물이나 묏미나리와 더 가깝습니다. 잎이 패인 부분이 가지까지 깊숙이 패인 것이 당귀완 사뭇 다르죠. 또 당귀는 잎이 넓고 지리강활은 잎이 좁습니다.

 

바디나물

당귀는 그림처럼 잎맥에 붉은 색이 돌고 꺾으면 악취가 나질 않고 한약방 냄새가 납니다.


 



참당귀는 톱니가 둔각이고, 지리강활은 톱니가 예각인 점도 차이점입니다. 당귀를 조금만 보시면 지리강활과는 혼동을 일으키지 않을 것입니다.

 

 

(참)당귀와 개당귀의 구별 방법

당귀는 이름도 친숙하며 널리 알려져 있다. 당귀와 유사한 개당귀가 있는데

모양이 비슷하여 구별하기가 어렵다. 그런데 당귀는 몸에 좋지만 개당귀는

猛毒성을 가진 풀이며, 개당귀를 당귀로 誤認하여 뿌리를 먹고 사망 및 중

독을 당한 사고 사례가 있어 여기에 당귀와 개당귀의 특징과 구별방법을 밝

히므로 이러한 오인사고를 줄이도록 一助를 하고자 한다.

당귀(當歸), 참당귀

명 칭

지리강활(智異羌活)

目貴草, 當赤, 宿根草

이 명

개당귀, 남당귀

산형과, 바디나물속

과 명
속 명

산형과, 바디나물속

Angelica gigas Nakai

학 명

Angelica purpuraefolia Chung

전체
사진

잎1

잎2

잎은 1-2회 3출겹잎이며 3-5갈래로

거듭 갈라지며 갈래는 긴 타원형이

고 끝은 뾰쪽하며 가장자리에 톱니

가 있고 엽초는 넓고 크다. 가장자리

의 톱니의 크기 및 배열이 고르지 못

하다. 잎이 서로 갈라지는 곳에 잎이

연결되어 있다.

상처난 잎에서 흰색의 진액이 나며

달콤한 향이 난다.

잎의 뒷면의 색이 앞면의 색과 같다.


특징

잎은 한줄기에 3개로 갈라 지고 갈

라진 줄기에서 다시 3개로 갈라져

갈라진 가지마다 9개의 잎으로 되

어 있으며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이 당귀보다 좁다.

가장자리의 톱니의 배열이 균일하

다.

상처난 잎에서 역겨운 냄새가 난


잎이 서로 갈라지는 부분에 분리되

어 있고, 잎의 뒷면의 색이 앞면의

색보다 흰색이 많다.


줄기

줄기는 곧게 자라며
어릴 때는 연녹색이나 꽃대 줄기는

가을철이 되면 자색을 띤다.

줄기가 상대적으로 연하다.

(손으로 눌러보아 쉽게 눌려진다)

줄기가 상대적으로 굵다

줄기에 홈이 파져있다.(줄기의 단면

이 홈이 파진 원형이다)


줄기
특징

줄기는 곧게 자라며
대부분 녹색이나 잎으로 분기되는

곳은 부분적으로 검붉은색을 띤다.

줄기가 당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단하다.(당귀에 비하여 단단한

편이다)

줄기의 굴기가 상대적으로 가늘다

줄기의 단면이 원형이다.

뿌리

줄기의 아래 부분이 연두색이다.

뿌리는 굵은 뿌리와 잔뿌리가 함께

나있으며 뿌리가 연하다.

상처난 부위에 흰색의 진액이 나오

*냄새를 맡으면 향긋하고 달콤한 냄새가 난다.

뿌리가 3갈래도 있지만 여러 갈래로

갈라져있다.

뿌리
특징

줄기의 아래 부분이 자색을 띤다.

리는 옆으로 퍼져있고 뿌리의 껍질

은 진한 갈색을 띤다.

상처난 부위의 냄새를 맡으면 역겨

운 냄새가 난다.

뿌리가 대부분 3갈래이다.

꽃은 7-8월에 자색 겹산형화서의 꽃

이 피며 10월에 결실을 맺는다. 총포

는 1-2장 넓고 짧으며 엽초모양, 작

은 총포는 5-7장 좁은 창처럼 생기

고, 꽃잎은 5장 긴 타원형 끝이 아주

뾰쪽하고 수술은 5개, 자방은 하위,

1실 열매는 분과, 타원형, 넓은 날개

가 있고 길이 5mm,더러 자색을 띤

다.


특징

7-8월에 흰색의 꽃이 피며 겹산형

화서이다.

우리나라 전국의 산에 나는 다년생

풀로서 키는 어린 것은 60cm에서 큰

것은 약2m정도까지 있으며 봄철 어

린 것은 녹색이나 여름철과 가을철

엔 자주빛이 돈다.

서식
특징

지리산에 많다 하여 지리강활이라

고 하며 우리나라 중부이남에 분포

하는 다년생초이다.특히 지리산 해

발 1500m높이 부근에 많이 서식하

고 있다.

어린 잎과 뿌리는 식용하며 잎은 날

로 쌈을 해 먹거나 삶아 묵나물로 먹

고 뿌리는 차나 술을 담그어 마신다.

식용 및
독성
유무

식용할 수 없다.

뿌리는 약재로 쓰이며 약성은 온화

하고 맛은 달고 쓴데, 방향성 정유와

서당,비타민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월경을 조절하고 월경통을 제거해주

는 효능이 있는데 이것은 혈액순환

을 촉진시키고 진통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보혈작용이 현저하

여 빈혈에 유효하고 일반 타박상이

나 현전성 동맥염의 치료에도 응용

된다. 만성 화농증에 사용하면 순환

을 개선시키고 체내의 저항력을 증

강시키며, 변비에 복용하면 장관운

동을 원활하게 해주어 배변을 용이

하게 한다. 이밖에도 빈혈로 오는 두

통, 관절염등에 널리 사용한다. 자궁

출혈이 심할 때는 사용하지 않으며

장기간 또는 다량투여하는 것도 삼

간다.

약용

지리강활은 有毒植物로 대부분 약

용으로도 쓰지 않으나 때에 따라

또는 약사에 따라 약용으로 쓰기도

한다. 독성이 크면 약효도 크다고

한다.

다만 유사한 강활의 뿌리는 해열진

통제, 피부진균 억제제 등에 쓴다.

사고
사례

1991년 5월 19일에 지리산 치밭목

산장 부근에서 개당귀를 참당귀로

잘못 알고 먹어 1명이 사망하고 3

명이 중독된 사고가 있었다.

1994년 5월 29일에 지리산 세석평

전에서 대구에 사는 여성 2명이 지

리강활을 먹고 중독된 사고가 있었

다.

이외에 해마다 여러 건의 중독사

고가 일어나고 있고 산장부근에 경

고 간판이 붙어있다.

증상
해독
방법

개당귀 뿌리를 먹으면 눈이 충혈되

면서 얼굴이 붉어지고 경련을 일으

키며 즉사하거나 1~2시간 정도 지

나면 목숨을 잃는다.


개당귀를 먹었을 때 解毒방법은 녹

두가루를 물에 타서 마시게 하거나

칡즙이나 칡줄기즙을 먹이면 해독

이 된다고 한다. 이런 해독재료가

없을 경우에는 토하게 하는 것이

상책이다.또한 경련으로 혀를 깨물

염려가 있으니 재갈을 물려 이를

막아야 한다.

당귀란 참당귀의 뿌리를 말하며 고

려시대 목귀초(目貴草),당적(當赤)

이라고도 하였으며, 1600년대에는

숭엄초불휘라고도 하였다. 다른 이

름으로 숙근초(宿根草)라고도 한다.

당귀란 말의 유래는 옛날 결혼을 한

신부가 냉병(冷病)이 있어 신랑으로

부터 소박(疏薄)을 맞고 친정으로 쫓

겨 가는데 허기가 져서 어떤 풀을 뜯

어먹고 허기를 면하게 되었고 또한

냉병이 호전되어 친정에서 계속 그

풀을 뜯어 먹고 냉병이 다 나았으며

그래서 시집으로 다시 돌아갔다는

고사가 있으며 이 일로 해서 이 풀을

먹으면 마땅히(當) 집에 돌아간다

(歸)라는 의미로 당귀로 쓰게 되었다

고 한다.

말의 유래

지리강활을 다른 말로 남강활, 지

리강호리, 개당귀라고도 한다.

겹산형화서(-傘形花序) :

꽃의 생김새가 한 점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갈라진 가지 끝에 꽃이 우산

모양(傘形)으로 여러 갈래로 피는 모양
으로 2중의 우산모양이다.

총포 (總苞,involucral) : 꽃의 밑에 붙은 비늘모양의 주머니 (苞,bract)

 

자료 출처 : 다음 카페 및 블로그, 신지식중에서  

반응형
LIST